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모든 식물자원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세계는 지금 소리 없는 종자전쟁의 한가운
데
에 서 있기 때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첨단식물의 르네상스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05 푸른 향기 가득한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체내에 축적돼 있는 브롬 난연제는 혈중 농도가 나노그램(ng, 1ng=10-9g) 수준으로 매우 낮은
데
다 비슷한 구조의 종류가 200가지가 넘기 때문에 분석이 매우 어렵다. 6가지 유해물질 중 중금속은 다양한 분석방법이 개발돼 있지만 브롬 난연제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공인된 표준분석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정보의 신경학적 기전, 지각·주의·기억·의사결정에서의 의식과 무의식 현상을 밝히는
데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마음의 이해에 중심이 되는 의식의 문제는 뇌를 연구하는 우리의 뇌가 밝혀야 할 중요한 과제로 여전히 남아있다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연구하던 박사님은 특이한 광경을 보았어요. 빙붕이 깨지거나 갈라지는 모습인
데
요. 빙붕이란‘얼음으로 된 대륙붕’이란 뜻으로 일 년 내내 얼음으로 덮인 깊이 300-900미터의 바다를 말합니다.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거대한 빙붕이 녹아 깨지는 것을 목격한 것이지요. 엄청난 얼음덩어리가 ... ...
모든 생물의 '유전자 신분증'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된다. 지금은 이런
데
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않아 처음 발견된 생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데
길게는 1년 이상 걸리기도 한다. 과학자들은 우선 이름이 붙여진 170만 종을 대상으로 작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모든 생물이 갖고 있지만 DNA 배열은 생물마다 틀린 유전자를 비교해 이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먹히기 쉽다. 그런
데
도 자신을 화려하게 치장하는 것은 ‘내가 돋보이는 색깔을 가졌는
데
도 살아남은 것은 다른 경쟁자보다 더 빠르고 강하기 때문이다. 또 치장을 할만큼 남보다 더 많은 먹이를 먹을 능력이 있다’고 암컷에게 과시하기 위해서다.이는 이스라엘 행동생태학자 아모츠 자하비가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기록이 아닐 수 없다.두뇌의 체조 시리즈는 1990년대 초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돼 나왔는
데
판매 부수는 그리 대단하지 않았다. 1990년대 말에 일부 내용을 번역한 책도 나왔지만 오히려 책의 구성이나 만듦새는 그 이전 번역판보다 훨씬 떨어졌다. 일본의 1960년대 출판 수준이 1990년대 한국의 수준보다 ... ...
면역 높여 암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유전자를 발견한 후 동물실험을 통해 이 유전자가 줄기세포에서 NK세포가 생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유전자를 갖지 않은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NK세포의 수가 70% 이상 적고 그 기능이 떨어져 있으며 암세포가 크게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실제로 암 환자의 경우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수 속의 질소성분을 질소가스로 바꿔주는 미생물이 살아가려면 탄소성분이 필요한
데
, 저급지방산이 바로 탄소공급원 역할을 한다. 대구시 북구 서변동 하수병합처리장에서는 음식물쓰레기 발효 후 얻은 메탄가스를 자체 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양주군에 있는 한 양계농장에서는 나이가 들어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인간이 아닌’ 어떤 것들로 채워질 것이다. 또 우리의 정신현상을 단지 ‘체험’하던
데
서 그 기전을 ‘지적으로’ 이해하게 됨에 따라 또다른 차원에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결국 뇌의 이해는 뇌를 닮은 산물을 낳을 것이고, 그 산물과 우리의 모습은 점점 더 닮아갈 ... ...
이전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