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보는 부분이 있냐는 질문에 망원경이 있는 건물 1층의 모니터를 가리킨다. 대형 망원경은
사람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게 아니라 검출기에 당도한 빛 정보를 이미지화한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서 보는 것이라고. 기자가 천문대를 찾은 날은 불운하게도 구름이 너무 짙어 망원경을 작동시키지 ... ...
게임, 뇌에 도움 안 된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 뒤 인지 능력이 좋아지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에도 문제가 있었다. 대조군에 속한
사람
들이 스스로 대조군에 속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것. 그러나 부트 교수는 비디오 게임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단정하지는 않았다. 가능성은 있지만 증거가 더 필요하다는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 반면 김 교수는 무겁고 길게 본다. 어떤 상황에서도 느긋하고 서두르지 않는다. 두
사람
의 그런 성격이 서로를 보완하면서 최고의 파트너가 됐다. 그리고 함께 꿈을 꾸게 했다.“작은 분야라도 정말 생명과학에 기여할 수 있는 것, 의미있는 발자취를 남길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어요. 그건 백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자세히 오래 관찰했지만, 자신이 하등한 연체동물을 보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
사람
의 시선’을 버린 채 자신도 하나의 달팽이가 된 기분으로 대했다.물론 저자가 직접 이런 이야기를 쓰지는 않았다. 하지만 짐작할 수 있는 근거가 있다. 저자는 하루 중 거의 모든 시간을 좁은 방 안에서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매우 수수께끼 같고 변화 무쌍한 성질이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와서 과학자들이 다른
사람
이나 동물 등 ‘다른 의식적 주체’에 대해 객관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의식 연구가 과학 연구의 대상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의식이 지배하는 마음과 물리 현상(체내 전기 화학적 상호작용)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플라스틱은 금속보다 충격을 더 잘 흡수한다. 자동차 앞면에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면
사람
과 부딪쳤을 때 부상을 덜 당하게 된다.그렇다면 언젠가 고성능 플라스틱이 완전히 금속을 대체할 수도 있을까. 엔진처럼 움직이는 부품도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을까. 듀레탄연구개발 책임자인 데트레프 ... ...
운동하기 귀찮다면 다크 초콜릿 먹어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것은 세포가 쓸 수 있는 에너지가 풍부하다는 의미다. 따라서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한
사람
은 쉽게 지치거나 피로를 느끼지 않는다.말렉 교수는 다크 초콜릿 속에 많이 들어있는 ‘에피카테킨’이라는 성분이 운동을 할 때처럼 근육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수를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감염된 쥐가 고양이를 무서워하지 않게 된다거나 광견병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
이 물을 무서워하게 된다는 게 그 예다.바이러스나 기생충이 행동을 조절하는 원리는 무엇일까. 미국 펜실베니아대 공충학과 연구팀은 매미나방 애벌레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바이러스를 연구해 실마리를 찾아냈다.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화장에 사용하는 주사라는 광물도, 눈매를 강조하기 위해 나무를 태워 만든 먹도 같다.
사람
들이 생각하고 지내는 것은 과거나 지금이나, 동서양이나 모두 비슷 비슷했다는 얘기다.형태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지난해 ‘네이처’ 11월 4일자 연구에 따르면 고대 로마의 여성들도 현대여성에 ... ...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1871년, 이 작은 언덕 위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몇 개월 만에 약 30,000명의
사람
들이 모여 100m 깊이의 굴을 팠다.하지만 아직 생성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싱크홀도 많아. 일부 싱크홀은 지하 공간이 무너져서 생겼다고 하기엔 구멍이 너무 완벽한 원형이라는 점도 논란 거리지. 갑자기 ... ...
이전
914
915
916
917
918
919
920
921
9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