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있다. 그리고 사냥군의 허리띠를 따라 삼태성이라 부르는 세개의 별이 놓여있고,
칼
집 아랫쪽에는 유명한 오리온대성운이 보인다(사진2). 삼태성 중에서 동쪽에 있는 별주위에는 유명한 말머리성운이 위치한다(사진4). 육안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온대성운을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사진3)처럼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잎에서 추출한 색소를 분리하기 위해 1906년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는 긴 유리관에 탄산
칼
슘 분말을 넣고 그 위에 식물 색소를 넣은 다음 석유 에테르를 위로부터 주입했더니, 처음에 하나로 보이던 색소가 점점 밑으로 내려오면서 층이 생기고 여러 색으로 분리되는 것을 보았던 거죠. 오늘날 이것을 ... ...
물루동굴과 바코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아직까지 어떻게 그러한 모양을 가지게 됐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자리가
칼
과 같이 날카로운 피나클의 높이는 20~30m. 큰 것은 45m짜리도 있다. 색깔이 변하는 원숭이 사라와크주의 중심지는 남서부의 쿠칭 시. 쿠칭에서 1시간 정도 북쪽으로 달리면 해변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 ...
지문검출에 획기적인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담당하던 그는 어느날 지문 담당자로부터 "기기를 사용해 결과를 내놓아도 지문처럼
칼
로 자르듯 범인 을 알아낼 수는 없을 것"이라는 말을 듣게 된다. 이에 충격을 받은 그는 새 지문검출법 개발에 집념을 불태웠다고 한다. 이번 방법은 미첼 이후 지문검출에 관한 70년만의 꿈을 실현시킨 것이라 할 ... ...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결여된 것을 보면 지속적인 비행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바람을 가르는 날개(
칼
깃)의 불균형은 다시 말해 그들이 한번의 강력한 충격비행에 한했음을 말해 준다. 이러한 날개의 발달은 시조새의 선조 때부터 시작됐으며 앞다리의 뒷쪽에 나있는 비늘이 매끄러운 면쪽으로 길어진 것이다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아픔은 모르는 뇌사람이 느끼는 온갖 고통은 뇌를 통해서 느껴지지만 막상 뇌 자신은
칼
로 잘려지더라도 아픔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뇌 수술은 환자에게 일체 마취를 하지 않은 채 실시되는데, 그렇기 때문에 뇌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뇌의 특정 부위를 전기로 자극함으로써 그 반응을 관찰할 수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나는 반지중다년초다. 키가 보춘화보다 훨씬 커서 60cm나 되고, 뿌리켠에서 나는 잎은
칼
모양이며, 그 자른 면이 평평하고, 잎가에 톱니가 없다. 꽃은 잎과 비슷한 포가 달린 긴 꽃대 끝에 보라색의 큰 꽃이 대개 3송이씩 달리는데, 그 꽃봉오리의 모양이 마치 붓글씨를 쓰는 붓을 닮아 붓꽃이란 이름이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것도 먼지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뉴욕 이타카에 있는 코넬대학 행성연구소의
칼
세이건과 크리스토퍼 치바는 생명은 새롭게 형성된 내부 태양계의 마지막 폭발 때 시작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행성의 형성 뒤에 남겨진 물질과 그의 위성들은 분명히 그 행성과 위성들을 향해서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숲속 곳곳을 여행하며 원인모를 재난의 비밀을 풀어나가는 아케이드성 롤플레잉 게임.
칼
과 무기를 지닌 마법사는 게임이 진행될수록 성장하는데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깔끔한 화면처리가 특징. 386 이상에서 사용가능. 제작자는 중앙대 전산과 2년 이재홍씨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물의 충돌에너지를 이용, 재료를 절단하는 새로운 개념의 가공 기술이다. 일종의 '물
칼
'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기술의 기본원리는 고속으로 분사되는 물줄기의 충격을 이용해 공작물을 빠르게 침식시키는 것이다. 이 기술은 1969년 미국 일리노이대학의 노만 프란츠(Norman Franz)에 의해 처음 소개됐다.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