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d라이브러리
"
칼
"(으)로 총 1,066건 검색되었습니다.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8년이 흘렀다 ... ...
컴퓨터의 땀을 닦아라!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연성(ductile)적인 재료가 있다. 취성적인 재료의 극단적인 예가 유리다. 유리를 다이아몬드
칼
로 흠을 낸 뒤 손으로 힘을 가하면 깨끗이 잘라지는데서 볼 수 있듯이 금이 가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것이 균열전파속도(crack propagation speed)인데 시속 약 4천8백km 정도 된다. 이를 초속으로 환산하면 1.3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아닌 것이다.0.001mm 정도의 티끌같은 로봇이 환자의 혈관을 타고 환부에 도착한 다음 미세
칼
이나 레이저로 수술을 하는 광경을 상상해 보자. 이때 환자의 옆에 있는 의사는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백배나 확대된 환부를 보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자신은 조그맣게 축소돼 인체내부에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같은 속도로 뼈를 성장시키고 있었다. 뼈 골격의 한 부분에서 분해되어 흘러나오는
칼
슘은 확실히 다른 곳의 새 뼈를 성장시키는 데 사용됐다.연구원들은 동면중인 곰의 혈액에는 뼈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화학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것을 열심히 찾고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들은 이것을 ... ...
하이테크 압력식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짧다는 뜻이다. 기껏해야 세라믹가공이나 알루미늄새시의 성형가공, 워터제트(일명 물
칼
)의 커팅분야가 고작이었다. 수천 수만기압을 이용한 가공기술이 확립된 것은 최근에 들어서다.하야시 교수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식품에 초고압처리를 시도해 가공 살균 저장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식품에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로봇이라고 말할 것이다. 로봇의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0년 체코의 극작가
칼
차펙의 희곡에서다. 이 작품에서 인간에게 무조건 복종하고 모든 육체적 노동을 대신할 로보타(robota, 노예 노동자라는 뜻)가 등장 했으나 이 로봇은 주인에게 반기를 들고 모든 인간을 죽이는 흉악한 기계로 돌변한다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러한 과정은 항림프구 글로블린에 의해 억제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1978년
칼
네와 그 동료들은 더욱 강력한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입증한 논문을 발표했다. 원래 진균성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된 이 약제는 이식장기에 대한 거부 반응에 효력이 뚜렷하다는 것이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헤라클레스는 레르나의 수풀로 들어가 물뱀과 처절한 싸움을 벌이게 된다.그는 한 손에
칼
을 들고 물뱀의 머리를 자르면서 다른 손으로는 새로운 머리가 나오지 못하도록 불 붙은 몽둥이를 써서 자른 곳을 태워 나갔다. 한달간에 걸친 끈질긴 싸움 끝에 마지막 머리를 바위 밑에 묻음으로써 결국 ... ...
온실효과로 인한 기온상승 밤에만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따라 야간과 주간의 온도가 모두 상승한다고 예상했다. 그러나 미국 국립기상정보센터의
칼
토마스 박사팀은 이와는 전혀 다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북반구에서는 주로 기온이 야간에 상승했는데 야간 기온 상승은 식물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낮에 기온이 높아지면 탈수나 기타 피해가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효시라 본다면, 현대 석유화학공업은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저압 중합을 실현시킨 독일의
칼
지글러와 이탈리아의 길리오 나타의 연구결과로부터 시작된다.지글러는 에틸렌에서 출발해 알루미늄 알킬의 합성을 연구하고 있었다. 에틸렌이 기체이므로 그는 고압 용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어느날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