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습관"(으)로 총 1,4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동아사이언스 l2017.07.26
- 식습관이 비슷할 확률이 높고, 식습관이 부모와 비슷한 경우가 48% 이상이라는 연구는 식습관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인은 쌀을 주식으로 먹습니다. 높은 기온과 풍부한 강수량이 벼를 재배하기 알맞지요. 쌀에 풍부한 탄수화물은 침에 섞인 ... ...
- [카드뉴스]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7.22
- 잠을 안자고 하루를 길게 살려고 노력하기보다 자신에게 맞게 숙면을 취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특히 성장기인 청소년들은 자는 동안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므로 충분히 자야합니다. 충분한 잠은 창의력과 학습능력에도 도움이 됩니다. 8시간 잔 그룹이 적게 잔 그룹에 비해 수학문제를 풀 가능성이 ... ...
- [카드뉴스] 유전자가 말할 수 있는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7.07.16
- 않아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비만의 경우 검사 대상이 아닌 다른 유전자나 식습관, 운동 부족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유전자 때문에 비만에 걸린 것인지, 비만해지면서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난 것인지도 불확실합니다. 그럼 유전자 검사로 알 수 있는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은 곳에 살고, 같은 방언을 쓰며, 같은 피부색에, 같은 습관과 배경을 가진 사람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 즉 ‘다른’ 사람은 싫어합니다. 이는 부정할 수 없는 본성이지만 또한 의식적인 노력으로 극복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마음이 맞는 사람과 ... ...
- [카드뉴스]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동아사이언스 l2017.07.15
- 섭식장애클리닉에 오면 일단 몸무게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치료를 받습니다. 스스로 먹는 습관을 길러 어느 정도 건강해지면 정신과 치료를 받습니다. 섭식장애는 병입니다. 다이어트로 건강을 찾기보다 몸과 마음이 병들고 있진 않은지 생각해봐야 하겠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07년 05월호 ... ...
- 미래 도시 설계 어떻게? “4차산업혁명 적극 반영해야” vs “상황 지켜보며 대응해야”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드론버스 등이 하늘에 도입될 것”이라며 “가까운 미래에 이동 수단과 함께 생활 습관도 변할텐데, 이런 내용이 전혀 논의조차 되지 않고 도시설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지하철보다 지상 운송수단을 많이 쓰는 시대가 올 수 있는데 서울은 광화문이나 삼성역의 지하도시 ... ...
- 15년 동안 50kg 살을 뺀 여성팝뉴스 l2017.07.07
- 같은 사람일까 싶을 정도로 달라도 너무 다르다. 10대 때는 비만이었다. 체질 또는 식습관이 원인이었을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 여성이 많은 요요를 거쳤을 것이라고 본다. 고통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위 사진에 포착된 놀라운 변신은 강한 정신력으로 스스로를 이겨낸 결과라는 평가다. ... ...
- 박혁거세가 태어난 알은 완벽한 원형이었을지도 모른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5
- 23일자에 발표했다. 그간 알의 모양이 서로 다른 이유에 대해서는 둥지의 형태 차이, 식이 습관 차이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돼 왔다. 연구진은 1400종의 새를 대표하는 약 5만개 알의 모양을 분석한 결과, 비행 능력이 뛰어난 새일수록 한쪽이 비대칭적이거나 길쭉한 모양의 알을 낳는 경향이 있다는 ... ...
- [카드뉴스]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동아사이언스 l2017.06.24
- 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프로젝트입니다. 유명한 연구로 유전이나 식습관보다 직위의 높낮음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에 결정적인 변수라는 발표가 있었죠. 최하위직 공무원은 최상위직 공무원보다 사망 확률이 3배나 높았습니다. “복지 시스템이 갖춰진 선진국에서도 이런 ... ...
- 아무리 잘 관리해도 암에 걸릴 사람은 걸린다?과학동아 l2017.06.23
- 공감대 형성이 우선이다). 한편 살아가면서 접하는 환경적인 요인이 가장 큰 경우, 식습관을 고치고 발암물질 노출을 줄이며 담배를 끊는 등의 방법으로 암 발생과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담배를 끊는 등 환경적인 노력이 절대로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미래를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