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환
교대
대치
대신
지로
대안
d라이브러리
"
대체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mod m에서 합동이라고 한다. 합동이면 a와 b를 각각 m으로 나눈 나머지도 같다.그렇다면
대체
리플 셔플과 합동이 무슨 관계일까? 카드 17장으로 리플 셔플을 계속해서 해 보자. 2번 또는 6번 섞으면 같은 문자 4개가 연달아서 배열된다. 8번 섞으면 카드 배열이 맨 처음과 같아진다. 즉 8로 나눴을 때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수컷이 더 큰 경향은 조사한 종의 45%에서 나타났다.불성실한 수컷은 몸집만 키우고도
대체
왜 수컷이 더 큰 걸까. 짝짓기 경쟁 가설에 따르면 성별에 따른 선택압력(선택압)이 강할수록 암수의 크기 차이가 더 심해진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짝짓기 체계를 이용해 조사했다.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환자 중심 의학’, ‘마음을 중시하는 유기체 의학’ 등을 내세우고 있는데, 사실 여타
대체
의학에서도 다들 하는 소립니다. 양자역학과 딱히 관련도 없고요.어떻게 봐도 양자역학은 겉모습을 그럴 듯하게 만들기 위한 포장지일 뿐입니다. 언젠가 우리 몸의 작동 원리를 양자 수준에서 파악할 수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장소에 나타나는 식이다. 영화 속 탐사대는 웜홀을 지나 다른 은하계로 건너가 지구를
대체
할 새로운 행성을 찾는다.웜홀은 1935년 아인슈타인과 그의 제자 네이던 로젠의 아이디어에서 발전된 개념이다. 그래서 처음 웜홀의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웜홀의 개념은 간단하다. 종이의 양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효과적으로 막는 방법이 있을까? 미래의 수학이 그 문제를 언제 해결할지 주목해 보자.
대체
수학자 윤리 문제가 이번 사건이랑 무슨 관련이 있다는 거야?어떤 수학자가 현재 암호화 시스템의 허점을 발견하고 이를 정부 당국과 암호 업체에 알렸습니다. 그런데 밝히지 않으면 모를 일을 문제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두 곰팡이를 찾은 김창무 국립생물자원 관 미생물자원과 박사는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
할 수 있는 국 내 자생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올해 부터는 우리 땅에서 찾은 신종 생물을 바이오산업에 활용할 방 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종헌터의 어깨가 무겁다. 신종은 '돈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낭비가 심하다. 측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우주가 나눠진다면
대체
얼마나 많은 우주가 존재한다는 말인가? 혹 떼려다 혹을 붙인 셈이다. 좀 더 미묘한 문제로 확률적 해석에 대한 것이 있다. 모든 가능성이 다 실재하는데 확률이라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것이다. 다세계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아닌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지 뭐예요?전 살아생전에 이 같은 연구를 한 적이 없는데,
대체
무슨 일일까요?수학 천재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닐까?수학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는 필즈상이다. 그런데 몇몇 필즈상 수상자들의 이력을 살펴보면 수학 천재 유전자가 있는 건 아닌지 의구심이 들 ... ...
[생활] 팔방미인 상수, π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정하고, 이를 축하하는 여러 행사들을 열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유명한 기호 π는
대체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 원주율과 기호 π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원주율의 근삿값을 구한 아르키메데스원주율은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그런데 원주율의 값은 3.1415926535897…로 딱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많은 물이 필요하다. 실제로 모내기를 하려다 가뭄이 들어 물이 부족해지면 메밀 같은
대체
작물을 심었다. 그래서 조선 초기에는 어명으로 모내기를 금지했다. 관개 시설이 잘 정비돼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된 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모내기를 전국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됐다.모내기가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