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환
교대
대치
대신
지로
대안
d라이브러리
"
대체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많은 물이 필요하다. 실제로 모내기를 하려다 가뭄이 들어 물이 부족해지면 메밀 같은
대체
작물을 심었다. 그래서 조선 초기에는 어명으로 모내기를 금지했다. 관개 시설이 잘 정비돼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된 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모내기를 전국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됐다.모내기가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낭비가 심하다. 측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우주가 나눠진다면
대체
얼마나 많은 우주가 존재한다는 말인가? 혹 떼려다 혹을 붙인 셈이다. 좀 더 미묘한 문제로 확률적 해석에 대한 것이 있다. 모든 가능성이 다 실재하는데 확률이라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는 것이다. 다세계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하고 있다.줄기세포는 신체의 어떤 조직으로도 분화할 수 있어서 고장 난 장기나 조직을
대체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구 중력이 작용하는 환경에서는 세포 배양이 까다롭다. 필요한 세포는 3차원으로 모여 있어야 하는데, 줄기세포로 신장이나 간장 조직에 필요한 세포를 만들어 배양하면 중력 때문에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기록과는 다르다. 에는 일본군함이 330척이 아니라 130여 척이라고 소개돼 있다.
대체
어떻게 된 걸까?사실 영화가 틀렸다고 나무랄 수만은 없다. 130여 척, 330여 척 모두 역사적 기록물에서 나온 수치기 때문이다. 이순신 장군의 친필본인 에는 일본 수군의 배가 130여 척이라고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수학자들이 탁월한 업적을 세운 수학자에게 이 상을 수여한다." 아르키메데스필즈상은
대체
누가 만든 것일까? 그리고 왜 노벨상에서는 수학 분야가 제외된 것일까? 필즈상을 둘러싼 갖가지 궁금증과 나라별, 출신 학교별 필즈상 수상자 분석까지! 필즈상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필즈상을 만든 존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식감이 좋아 캐러멜처럼 씹다가 삼킨다는 사람…. 먹거리X파일은 바로 이 점을 공략했다.
대체
벌집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알고 먹느냐는 것이었다. 방송이 나간 뒤 인터넷 커뮤니티는 벌집의 정체를 두고 시끄러웠다. 정답은 ‘진짜’ 벌집인지, 아닌지에 달려있었다.벌집은 꿀벌의 배에서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측정하는 순간 색이 정해진다. 측정이라는 행위가 대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측정이
대체
무엇이냐고 물으면 “입 닥치고 계산이나 하라”는 답이 돌아온다. 측정이야말로 양자역학이 가진 기이한 부분이다. 아무튼 이런 점에서 EPR 논문이 정의한 실재는 양자역학의 측정 개념과 양립할 수 없는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있었던 것은 약과다. ‘집채만한 파도’는 정말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위험한 파도는
대체
, 왜, 언제 생기는 것일까.이제는 ‘쓰나미’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3년 전, 일본에서 있었던 ‘일본 대지진’ 사건 때문이다.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일어난 규모 9.0의 강진 탓에 파고가 10m에 달하는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만들었다. 빛이 최단거리를 진행한다는 헤론의 법칙은 페르마에 의해 최소시간의 원리로
대체
됐다. 네덜란드의 스넬은 굴절의 법칙을 발견했다. 위대한 뉴턴에게도 광학이 중요한 연구 과제였다. 뉴턴은 백색광이 프리즘을 지나면서 무지개 색으로 나뉘는 현상을 관찰해서 색깔은 물체의 속성이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앉아 있던 유진 위그너(1963년 노벨물리학상)는 옆 사람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
대체
무슨 소린지 한마디도 모르겠네. 이 강연을 듣고 양자역학에 대한 관점을 바꿀 사람은 하나도 없을 걸?” 이런 모호함 때문만은 아니었겠지만, 알버트 아인슈타인(1921년 노벨물리학상)도 보어가 주장하는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