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서"(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님이 남긴 세 편지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큰 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많이 있어. 이걸 한번 봐. 그럼 6개의 단어를 작은 것부터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겠구나.찰나, 순식, 모호, 항하사, 불가사의, 무량수무량수와 찰나의 실제 크기를 알고 보니 스님의 말씀이 더 와 닿는 것 같아. 정말 서로 많이 사랑하고, 아주 짧은 시간도 소중히 ...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낮은 단계부터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의 욕구, 존경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순서로 나누어 설명했다. 윗 단계의 욕구는 아랫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친구들에게 사랑받고 싶은 마음은 애정의 욕구, 인정받고 싶은 마음은 존경의 욕구라고할 수 있다. 즉, ...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이루고 있다는 거죠.아직 놀라긴 일러요. 하나의 잎을 기준점 0으로 두고 잎의 순서를 따지다 보면 3, 5, 8, 13, 21번째의 잎이 기준으로 정한 잎에 점점 가깝게 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이것은 바로 ‘피보나치 수열’이랍니다.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이 그 다음 수가 되는 신기한 수열이지요.1 ...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개수는 피보나치 수열잎의 개수에도 규칙이 있어요. 표에 나오는 분자와 분모의 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1, 1, 2, 3, 5, 8, 13, … 이 되거든요. 앞서 민들레 잎에서 보았던 피보나치 수열의 완벽한 형태죠. 잎은 이러한 각도와 규칙으로 날 때 위에 있는 잎이 아래 잎을 가리지 않고 햇빛을 최대한 받을 수 ...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같이 ‘ㄴ’ 모양의 도형을 그린다. 그리고 그 위에 점을 찍는다. 그린 도형과 점을 순서대로 하나씩 연결하면 미로를 그릴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갈 수 있도록 점을 잇습니다. 제가 찍은 점에 의하면 A→B→C→D→E→F→G→H→I→J→K→L 순서대로 전시를 보고 나오면 됩니다. 모든 전시는 한붓그리기가 가능합니다. 전시관 배치도를 가지고 한붓그리기를 해 보세요.미로의 길이 모두 한붓그리기는 아니에요. 모든 길을 다 지나지 않아도 되는 ... ...
- 학습계획서 작성하기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포함 1000자 이내). ▶ 자신이 읽었던 책 가운데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책을 순서대로 3권 이내로 기술해 주십시오(띄어쓰기 포함 500자 이내). KAIST ▶ 도전적인 면에서 당신에게 가장 큰 성취감이나 만족감을 주었거나 창의성을 발휘한 사례를 기술하시오(띄어쓰기 포함 250자 이내). 연세대 ▶ ...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재거나 무게를 측정하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분수 개념은 생긴 순서나 학교에서 배우는 순서가 자연수나 정수보다 늦습니다. 전체와 부분, 몫, 비율, 연산자와 측정 등 분수의 의미가 다양하기 때문입니다.자~, 이제부터 학교에서 분수와의 만남이 어떻게 이뤄지는지, 왜 만나야 하는지, 분수를 ...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없다. 하지만 카드가 제각기 무작위로 움직이므로 순서대로 배열될 확률은 매우 낮고, 순서 없이 뒤섞일 확률이 높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여기서 카드를 기체 분자로 52라는 수를 수천억 개가 넘는 수로 바꿔 보자. 기체 분자 하나하나의 움직임은 알 수 없지만, 기체 분자가 모여 어떤 상태를 이룰 ... ...
- 알록달록 전통매듭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동서남북으로 같은 모양이다. 절반이 완성된 동심결의 모습.❽ ㉠~㉣을 ❷에서 ❺까지의 순서대로 다시 한번 접는다.❾ 마찬가지로 네 방향에서 고를 잡아 당긴다. 이 때 네 개의 고가 같은 모양이 되도록 그 길이를 맞춰가며 조여야 한다.❿ 다 조이면 동심결 완성! 전통 매듭 공예를 할 때는 ... ...
이전899091929394959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