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운반하는 프로젝트예요. 운반된 빙하 코어는 남극에 위치한 영하 54℃의 동굴 속에 수 세기 동안 저장될 예정이랍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두 번의 빙하 시추에 성공했어요. 2016년 8월, 알프스 산맥에 있는 몽블랑 산의 콜뒤돔 빙하에서 길이 126m 정도의 빙하 코어를 뽑아내는 데 성공했지요. 지난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6년 아마트리체 지진이 발생한 뒤에 이 팀이 48시간 이내에 아마트리체 지역에 파견돼 14세기에 지어진 문화재의 상태를 조사했다. 여기서 획득한 데이터는 복구에 활용할 수 있다.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IoT) could also be helpful. The Italian company SysDev dev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석회석 조각으로 동굴 벽에 그날 잡은 짐승과 사냥 과정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21세기에는 환경 보호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배기가스를 모으는 사람이 있다. 201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유동계면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연구원이었던 아니루드 샤르마(Anirudh Sharma) 씨는 인도 뭄바이로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마랑고니 혼합 효과와 같은 매우 복잡한 난류 혼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없는 장난을 하는 것 같지만, 수학에서 대칭은 도형보다 방정식과 관련이 많답니다. 15세기 초 은행이 처음 생기면서 사람들은 이자계산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어요. 이자를 계산하려면 1차, 2차는 물론 5차방정식의 해까지 구해야 했지요. 그런데 4차방정식까지는 해를 구하는 ‘근의 공식’을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2] 절대 질 수 없는 더비 매치 수학이 점친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마드리드 CF를 뽑을 것입니다. 팬심을 제외하고 말이죠. 실제로 국제 축구연맹이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클럽이기도 하며, 별들의 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유럽 축구 연맹 챔피언스 리그의 최다 우승팀이기도 합니다. 무려 12번이나 챔피언 자리를 차지했지요. 스페인 프로축구 1부 리그인 라리가에서도 3 ... ...
- [과학뉴스] 조명처럼 잎살에루시페린빛이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기에 성공했어요. 하지만 빛의 세기가 약해서 앞으로 세 물질의 양을 조절해 빛의 세기와 지속 시간을 더 늘릴 계획이에요. 또한 직접 식물의 잎 표면에 발라서 손쉽게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개발 할 예정이랍니다 ... ...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고흐의 작품이 살아 움직인다!빈센트 반 고흐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활약한 화가로, 와 등 뛰어난 그림을 많이 남겼어요. 총 900여 점의 유화와 1100여 점의 습작을 남겼는데, 이중 130점이 영화로 재탄생했지요. 바로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에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덕분에 지금의 예르미타시 박물관이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예르미타시 박물관에는 17세기에서 20세기 초기까지의 프랑스 작품들이 가장 많다고 해요. 그 시기에 살았던 예카테리나 2세를 비롯해 로마노프 왕조 시대의 황제들과 귀족들이 프랑스 예술에 관심이 많아 열정적으로 작품을 수집했기 ... ...
- [에디터 노트] 아누스 미라빌리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않았다. 과학이 대중에게 문화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꾸준히 애썼다. 21세기의 인물로 불릴 만한 스티븐 호킹은 33세가 되던 해에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호킹 복사(hawking radiation)’로 알려진 논문을 발표하며 이론물리학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한번 기대해본다. 33세를 맞는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