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펀지 구조 나노소재로 열을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열을 전기로 바꾸는 모습을 형상화한
그림
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입는 전자기기’의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는 초소형 발전소자가 개발됐다. 입는 전자기기 외에 항공우주, 자동차 등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
美 유인 달 탐사 NASA 마샬우주센터에서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2024년 수행할 유인 달 착륙 임무를 묘사한
그림
. 착륙선으로부터 우주선이 추가로 분리돼 달 표면을 벗어나는 모습을 묘사했다. NASA 제공 미국이 5년 앞으로 다가온 유인 달 탐사 임무를 앞두고 임무의 핵심인 달 착륙선 임무를 주도할 연구소를 선정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24년까지 유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금으로 된 현미경과 철로 된 현미경을 대비시켰다. 과학자로 살아온 이들은 모두 이
그림
이 뜻하는 바를 안다. 과학자 사회의 소득불평등은 우선 경력단계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대학원생은 연구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아주 기초적인 생활비 정도를 지원받으며 연구한다. 박사후연구원은 ... ...
류마티스관절염 악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부족한 경우 관절의 염증이 줄어든다. 반형성인자를 정상적으로 만드는 생쥐 (
그림
A의 윗부분)에 비해 태반성장인자가 부족한 생쥐(
그림
A의 아랫부분)에서 뒷다리 관절의 붓기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관찰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병든 림프구를 자극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방법은 무려 19세기까지 유럽에서 명맥을 유지했다고 하니 히포크라테스 의학이 드리운
그림
자가 어디까지인지 짐작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 의학을 후대에 크게 번성시킨 인물이 있었으니, 제정로마 시대의 의학자 갈레노스였다. 2세기~3세기 초에 살았던 갈레노스는 아우렐리우스 황제 등 네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
과학동아
l
2019.08.03
애니메이션 회사의 구직 광고를 보게 됐다. 애니메이터는 애니메이션의 핵심인 움직이는
그림
을 수작업이나 3D 그래픽으로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다양한 캐릭터를 형상화하는 것도 애니메이터의 역할이다. 심장이 뛰었던 그는 과감히 도전했고, 합격했다. 애니메이터의 길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198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아이들은 이 사람이 해로운 행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쁜 행동을 하는 사람은
그림
그리기를 방해하거나 물건을 부순다. 선한 사람은 주인공이 하려는 일을 도와준다. 두 사람의 놀이가 끝나고 이제는 아이도 함께 놀이에 참여하는 시간이다. 아까 지켜본 사람이 아이에게 근처에 있는 공을 좀 ... ...
툭 건드리면 보안용 화면으로...투명도 자유자재 '스마트윈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말했다. 오른쪽 위에 충격을 가하자 급격히 불투명해지는 모습. 8초만에 얼굴
그림
이 사라졌다. 온도를 재보면 불투명해짐과 동시에 온도가 약 30도까지 급격히 올라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60도까지 더 올리면 다시 액체 상태로 변하며 투명해진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사실을 확인했다. 신경세포(뉴런, 보라색)과 그 주위 별세포(노란색)를 묘사한
그림
이다. 별세포가 가진 특정 오피오이드 수용체(뮤오피오이드 수용체, 오렌지색)가 장소 선호 기억을 형성하고 오래 기억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진제공 IBS 연구팀은 또 이렇게 생긴 장소 선호 ... ...
[주말N수학]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과학과 수학이었다
수학동아
l
2019.07.27
면으로 표현한 모드리안 쇠라가 점을 이용해
그림
을 그렸다면, 선과 면을 이용해서
그림
을 그린 화가도 있습니다. 바로 네덜란드의 대표 추상화가 피트 몬드리안입니다. 수 세기 동안 유럽 화가들은 3차원 공간의 실제 세계를 2차원 캔버스에 구현하려는 데 심취해 있었습니다. 몬드리안은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