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아웃소싱의 시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mars)?’가 흘러나오고 있을 것이다. 팰컨헤비에 실려 우주로 향할 때 틀었던 곡이다. 이
그림
은 26일 현재 머스크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이다. 여러 모로 머스크의 아바타를 상징하는 스타맨은, 머스크와 스페이스X가 지향하는 목표를 잘 보여준다. 바로 화성으로 대표되는 심우주 탐사다. 우주 탐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게놈에서 특정 약물을 대사하는 효소의 유전자를 찾는 방법을 도식화한
그림
이다. 게놈을 5만1000개 조각으로 쪼개 각각을 대장균(E. coli)에 넣어준 뒤 약물(여기서는 딜티아젬)의 농도변화를 본다. 만일 농도가 줄었다면 그 대장균에 넣은 게놈 조각에 대사 효소 유전자가 들어있는 것이다(아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소음 적고 민첩한 닥터드론 한국에선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0
교수팀이 개발한 1인승 환자 수송용 드론(아래쪽)과, 이 드론이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한
그림
(위). 칼텍 제공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서는 최소 한 명 이상 탑승이 가능해야 한다. 모리 가리브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구겐하임 항공연구소 항공및생체공학과 교수팀은 2017년 시속 약 241km 속도로 응급환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PdCYP79D16 유전자의 표적 DNA 영역에 달라붙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
을 보면 ‘과연 분자 생물학이구나’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사실 아미그달린 자체가 독성분자는 아니다. 벚나무속 식물의 씨에는 아미그달린과 함께 이를 분해하는 효소인 베타-글루코시다제(beta ... ...
휘어지는 기판을 센서로...‘판박이 스티커’ 닮은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원하는 기판 위에 이 전극을 옮기는 기술인 ‘전사 프린팅’ 공정을 활용했다. 마치 미리
그림
을 그린 뒤 ‘판박이 스티커’를 이용해 피부 위에 옮기는 것과 비슷하다. 전사 프린팅 공정은 기존에도 널리 이용됐지만, 최종 기판이 평평할 때에만 활용할 수 있어 한계가 많았다. 연구팀은 내부에 ... ...
반도체 나노패턴 빠르고 정확하게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만드는 새로운 공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나노패턴은 실로콘 기판(웨이퍼)에
그림
을 그리듯 회로 패턴을 그리는 방식(리소그래피)을 많이 쓴다. 하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어 대체 기술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대표 후보가 김 교수팀이 연구중인 고분자를 이용한 ... ...
[주말N수학] CIA요원마저 사로잡은 대테러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19.06.15
테러 조직 역시 수장과 부하 조직원으로 이뤄진 부분 순서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림
에서 A부터 순서를 따라 내려가면 최종적으로 잔디밭에 물을 주게 되는 것처럼, 테러 조직도 A에서 말단 조직원까지 지시가 도달하면 테러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다음 식을 사용하면 각 점의 조직원을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일치해 몰입감이 높다. 손 동작과 가상 공간 속 움직임이 일치하지 않으면 자신이
그림
을 그린다는 감각을 느낄 수 없고, 흥미와 몰입감이 크게 떨어진다. 연구단은 실용적인 장치를 개발해 이 문제를 훌쩍 해결했다. 공간 터치감 지원 핸드 모션캡처 외골격 장치. 연구단이 자체개발한 이 장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253명의 19%에 이른다. 반면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며 경혈 자리를 묘사한
그림
은 꽤 그럴듯하게 보임에도 왠지 믿음이 가지는 않는다. 서 있거나 걷거나 뛸 때 중요한 기능을 하는 발이 다른 신체 장기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세분돼 각각 서로 연결돼 있다는 말인데 뭔가 필연성이 느껴지지 ... ...
온도 제어 세포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배양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됐다.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 6월호 표지
그림
으로 선정됐다. -사진제공 바이오머티리얼스 사이언스 국내 연구진이 세포를 넓은 면적으로 키워 인체의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재생의료 기술인 ‘세포시트’를 3차원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