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거래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어요. 이렇게 되면 메타버스 속 가상 자산에 대한 소유권이 블록에 남아 유지되고, 블록의 기록으로 소유권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또 이전에는 내가 하던 게임의 서비스가 종료되면, 캐릭터나 아이템이 사라져 버렸지만,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NFT는 ... ...
- [기획] 날 따라 해봐요, 이렇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성인 남성들이 흥겹게 인도 전통춤을 알려줍니다. 인도의 주요 농산물과 종교, 문화에 대한 설명도 나오죠. 갑자기 웬 인도 전통춤 소개 영상이냐고요? 이 영상의 주인공은 집에서 재밌게 운동하는 법을 알려주는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이에요. 선생님들은 놀이를 밥처럼 쉽게 알려준다는 ... ...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그리고 어떻게 해야 새로운 문화 환경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 미래의 화폐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디지털 형태의 화폐가 편리하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악영향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 ...
- [특집] 작고 작은 점의 위대한 여행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작고 작은 점의 위대한 여행Part1. [특집] 점에 대한 모든 것Part2. [특집] 시끌벅적 점점점 운동장 놀이Part3. [특집] 점선면 마을의 전설Part4.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 ...
- [특집] 시끌벅적 점점점 운동장 놀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알아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우유를 많이 마신 친구는 키가 클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볼 까요? 먼저, 우리 반 친구들의 키와 일주일 동안 마신 우유의 양을 조사해요. 그다음, 표 위에 친구들의 정보를 점으로 표시해요. 키가 140㎝인 점박이는 일주일 동안 우유 5컵을 마셨고, 점돌이는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컴퓨터의 두뇌를 만든 수학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아버지’라면서요? 정말 대단해요! 1946년 미국에서 개발된 컴퓨터 ‘에니악’은 거대한 계산 기계나 다름없었어요. 일을 시킬 때마다 사람이 수백 개의 전기회로를 일일이 조정해야 했죠. 여기에 ‘뇌’를 만들어준 게 바로 저랍니다.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기억하도록 기억장치를 만들었죠. 지금 ... ...
- [기획] 하수도2 미량 오염물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말했어요. 이어 “하수고도처리 공정이 도입되던 30년 전만 해도 미량 오염물질에 대한 인식이 적어, 현재 하수처리는 주로 가정하수에 포함돼 있는 유기물과 질소, 인 같은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술에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어요.홍 센터장이 주도하는 연구팀은 지난 2019년부터 우리나라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갖춘 것은 인정받은 셈입니다. 미완의 성공에 기뻐할 틈도 없이 3단 엔진 조기 종료에 대한 분석도 시작됐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11월 3일 누리호 발사 조사위원회를 발족했습니다. 항우연 연구팀은 나로우주센터와 제주, 팔라우 추적소에서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트로이군 소행성 탐사는 인류 최초이며 총 예상 이동 거리는 63억km다. 지름 7.3m의 거대한 태양전지판 2개는 긴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동력을 충전한다.루시가 탐사하는 목성계 트로이군 소행성은 L4 라그랑주 점 또는 L5 라그랑주 점에 모여 있는 천체를 뜻한다. 두 라그랑주 점은 각각 태양, 목성과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집권 이후에는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등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며 외국과의 소통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고 말했다.북한에서 ‘과학자는 사상 문제 이외에는 건드리지 않는다’고 할 정도로 특별 대우를 받는 편이다. 실수에 가혹한 북한도 과학이라는 학문이 오랜 축적에 의해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