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37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주의 과학신간] 못된 건축 外
과학동아
l
2014.06.08
◆못된 건축(이경훈 著, 푸른숲 刊) 예전에 서울 동대문운동장이 자리했던 곳에는
지금
‘우주선’ 같이 생긴 건축물이 있다. 올해 3월 개관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다. 건축물 모양도 신기하지만 제일평화시장을 비롯한 주위 다른 건축물과 비교돼 더욱 특이하게 보인다. 이경훈 국민대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최홍만 선수가 자라면서 후천적으로 나타난 개체변이일 수도 있다. 돌연변이는
지금
까지 없던 완전히 새로운 변이를 만들어 내는 현상으로 방사선이나 화학물질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한다. 먼저 DNA에 생기는 돌연변이는 염기서열이 복제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로 피부나 털이 ... ...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아니라 진딧물이 싫어하는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방법 등으로 방어를 시작한다. 그러나
지금
까지 식물이 어떻게 진딧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방어기작을 작동시키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진딧물이 즙을 빨 때 식물 속에 침을 흘려 넣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침 속에 든 특정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불임 뉴트리노’로 변환돼 사실 뉴트리노는 암흑물질의 후보로 거론돼 왔고
지금
도 그렇게 믿는 사람이 꽤 된다. 실제로 뉴트리노는 우주에서 광자(빛) 다음으로 숫자가 많은 입자(약 1089개로 추정된다)다. 광자는 질량이 ‘0’이기 때문에 암흑물질 후보도 안 되지만 뉴트리노는 질량 여부를 ... ...
[표심의 과학, 6.4 지방선거] 교육감 투표용지에 기호가 없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4.06.03
선거에는 모두 적용된다. 하지만 교육감 선거는 정당 추천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지금
까지는 교육감 후보자들이 추첨을 통해 직접 자신의 기호를 정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잘 모르는 유권자들은 교육감 후보와 정당을 연관 지었고, 그러다 보니 교육감 후보자들은 앞 번호를 선호하게 됐다. 그 ... ...
한국 슈퍼컴퓨터는
지금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14.06.02
3호기(해온, 해담) 두 대를 모두 교체하기로 한데 이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도
지금
까지 사용하던 ‘슈퍼컴퓨터 4호기(타키온-Ⅱ)’를 신형으로 교체하기 위한 사전 준비가 한창이다. 슈퍼컴퓨터란 고속연산이 가능한 대용량 컴퓨터 중 전 세계 500위 안에 들어가는 성능을 가진 컴퓨터를 ... ...
3D 프린터로 뼈, 연골, 지방까지 찍어내
과학동아
l
2014.06.02
만든 조직은 콜라겐으로 만든 것보다 세포 분화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
까지 3D 프린터로 생체 조직의 모양을 모사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면 이제는 모양뿐만 아니라 분화 가능성까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는 평을 얻고 있다. 조 교수는 “이 기술을 더 ... ...
영화 속 ‘로봇 손’에 대한 고찰
과학동아
l
2014.06.01
틀어주는 ‘재개봉’ 영화다. 5월 22일 다시금 극장가에 내 걸린 이 영화는 20년이 지난
지금
도 대단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6월 1일 현재 상영 중인 영화 중 네티즌평점 ‘9.26’으로 1위를 달린다. ●왜 하필 가위일까? 이런 높은 평점은 사실 인조인간의 애틋한 사랑이야기가 많은 시청자들의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밝혔다. 톰슨로이터는 2002년부터 매년 노벨상 예상 후보자를 발표해오고 있다.
지금
까지 톰슨로이터가 예상한 노벨 과학상 후보는 총 174명으로 이중 34명이 노벨상을 수상해 적중률은 19.5%에 이른다. 2011년에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 7명 전원이 톰슨로이터가 발표한 후보자로 채워지기도 했다. ... ...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어떻게 구분할까요?
과학동아
l
2014.05.30
흡·탈착시킬 수 있는 ‘나노다공성 유기금속구조체(MOF)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금
까지 사용하던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등을 구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정밀도가 크게 떨어졌으며 정밀한 측정을 하려면 고가의 장비를 이용해 공기를 일단 포집한 ... ...
이전
960
961
962
963
964
965
966
967
9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