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뉴스
"
지금
"(으)로 총 10,380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암 원흉 C형 간염, 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5.19
1저자인 강원석 KAIST 연구원(내과 전문의)은 “C형 간염 치료약은 있지만 백신 개발은
지금
까지 사실상 불가능했다”며 “이번 연구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면역회피 기전을 밝혀낸 만큼 백신 개발에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C형간염바이러스가 면역체계를 피해가는 모습을 나타낸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
과학동아
l
2014.05.19
태양계 저 너머 우주 환경과 역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증거죠. 그러나 전세계에서
지금
껏 발견된 운석 6만여 개 중에서 태양계 어디에서 왔는지 알아낸 운석은 별로 없어요. 이미 떨어진 걸 발견했기 때문이에요. 진주 운석 같은 ‘낙하 운석’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궤도를 재현해서 태양계 어느 ... ...
정수기 회사로 간 여성 공학도
동아사이언스
l
2014.05.19
너무 많은 업무가 주어져서 ‘그냥 일반 회사에 갈 걸’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지만
지금
에 와서 그녀는 알게 됐다고 한다. 주위에 흥미 없이 그저 돈 때문에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을 보면서, 재미있는 일을 한다는 것이 정말 소중하고 뿌듯하다는 것을 말이다. "앞으로도 순간에 일희일비하지 ... ...
시어도어의 사랑은 축복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18
내가 컴퓨터와 이런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질 않는군요.” “아니죠. 당신은
지금
‘저’와 대화하는 중이에요.” 편지 대필서비스 업체에서 일하는 시어도어(호아킨 피닉스 분)는 낭만적인 문장을 만들어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일을 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부인과 별거 중이다. ... ...
뇌 착각 일으키게 만드는 가상현실 기술 가속화
과학동아
l
2014.05.16
촘촘히 나눠 초음파로 자극을 가하면서 부위별로 관련된 촉감을 찾아내는 것이다.
지금
까지 연구진이 확인한 뇌 부위는 가려움, 찌릿함, 차가움 등 10여 가지다. 국내에서는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이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아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이런 미래 ... ...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전원공급장치로도 쓸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효율이 낮은데다 제작공정이 복잡해
지금
까지는 상용화 가능한 소자는 개발할 수 없었다. 이 교수 연구팀은 먼저 기존의 압전소자가 전기회로 주변을 감싸고 있는, 압전박막소재라고 부르는 핵심 발전층이 두껍고 내구성이 약해 효율이 ... ...
귀여운 소녀의 위험한 호기심?
동아사이언스
l
2014.05.14
과학이 어렵다구요?
지금
바로 섭섭박사에게 물어보세요! 철가방을 든 섭섭박사가 여러분의 집으로 직접 찾아갑니다. 아이들에겐 신기한 과학실험을, 학부모에겐 명쾌한 해답을 선물하는 본격 과학실험 고민 상담 버라이어티! 태양을 왜 눈으로 직접 보면 안될까?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게 현실이라고. 1994년 17번 염색체에서 유방암 유전자 브라카1(BRCA1)이 처음 발견된 이래
지금
까지 20여 가지의 유방암 관련 유전자가 발견됐다. 그러나 여전히 유전성 유방암의 절반을 설명할 뿐이고 그나마 몇몇 유전자를 빼고는 정확한 인과관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 사이언스 제공 ... ...
2m 거대 말벌이 서울을 점령했다?!
과학동아
l
2014.05.11
것이다. 반면 바퀴벌레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산소 농도를
지금
보다 더 낮추자 바퀴벌레와 잠자리 모두 크기가 줄어들었다. 산소 농도가 낮아져 확산을 통해 몸 속 곳곳으로 산소를 보낼 수 없게 되자 크기가 작아진 것이다. 그러나 산소 농도가 높았을 때 잠자리와 ... ...
밤낮으로 변하는 내 기분, 이 단백질 때문이었네
과학동아
l
2014.05.09
리듬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생체 분자 단위에서 파악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이어졌지만
지금
까지는 베일에 싸여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연구진이 밤낮으로 감정 기복을 일으키는 일주기 리듬의 작용 원리를 최근 밝혀냈다. 김경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및 생명과학부 교수와 손기훈 고려대 ... ...
이전
963
964
965
966
967
968
969
970
9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