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작용을 신경과학으로 설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자아’도 마찬가지다. 현대 신경
생물학
의 관점에서 자아란 하나의 표상이며, 표상이란 뇌 속에 있는 뉴런 집단의 활동패턴이다. 우리 주위의 여러 감각 정보에 반응하는 활동패턴을 포괄하는 패턴이 있다면 우리는 그 패턴을 어떤 대상에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암컷과 교미를 하는 것도 관찰됐다.머리 둘 달린 개가 장기 이식의 시작모스크바 국립
생물학
박물관에는 머리가 둘 달린 강아지가 전시돼 있다. 이 강아지는 1954년 러시아의 외과의사 블라디미르 대미호프가 만들었다. 그는 당시 개에게 허파나 심장을 이식하는 등 장기이식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는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 교수는 자신처럼 전혀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기존
생물학
자들과 힘을 합칠 때 연구의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세포가 들어 있는 랩온어칩이 몸속을 모사하는 것이라면 게코 발바닥이나 풍뎅이 날개를 흉내내는 건 외형을 모사하는 것이죠. 두 길은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면, MHC 유전자 서열이 자신과 가장 크게 차이나는 사람의 셔츠를 고른다는 것이다.
생물학
자들은 이런 현상을 근친교배를 막으면서 보다 다양한 면역체계를 갖춘 후손을 낳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한다.내가 오빠 냄새를 좋아하는 이유는 바로 유전자에 있는 것이다. 내 코는 오빠 냄새를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따라 생쥐의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는 전분화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물학
이나 의학에서 가치가 높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질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을 복원할 수 있다. 환자의 세포를 복제하면 면역 ... ...
무시무시한 독감, 수학으로 막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결과와 득표율이 비슷했다. 이 밖에도 네트워크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문인 시스템
생물학
*이 탄생하기도 했다.독감이나 신종플루가 퍼질 때 학교에 나오지 못하게 하고, 손을 자주 씻게 한 것은 수학적 이유가 있다. 평소 활발한 인간관계를 자랑하는 마당발이라면 독감에 걸렸을 때 활동을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러나 ‘연구 결과를 대중에게 전부 공개해도 되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린다.
생물학
테러의 위험성 때문이다. 2001년 9.11테러 직후 미국에서는 편지로 배달된 탄저균 테러로 5명이 숨지고 17명이 감염됐다.‘생물안보를 위한 국가자문위원회(NSABB)’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논문을 수정해 ... ...
PART 2. 우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행동은 좀 따라할 수 있죠. 예를 들자면 문 여는 방법이요. 오스트리아 비엔나대의 인지
생물학
자인 프레데릭 레인지 박사는 개 10마리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어요. 이 개들은 모두 훈련을 받아서 머리나 앞발로 문을 열 수 있어요. 이 개들에게 주인이 문을 여는 모습을 보여줬어요. 주인이 머리로 ... ...
“내 꿈은 내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가서 특별한 연구를 하는 교수가 될 수도 있고,
생물학
을 해서 아이들에게 즐거운
생물학
을 가르치고 싶다면 사범대나 교대에 가면 돼. 공부하다 보니 동물에 대해 관심이 생긴다면 수의학과에 갈 수 있지. ‘요즘 보니 신종 바이러스 때문에 동물들이 죽는데 내가 해결하고 싶다’ 그러면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눈에 들어 온 것이 ‘이산화염소(ClO2) 수치가 0’ 이라는 계기판이었다.베르헤르 씨는 “
생물학
적 방법으로 수질을 감시한다”면서 “자주 쓰는 동물이 물벼룩과 송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눈으로 수를 셀 수 있고 수질이 조금만 바뀌어도 헤엄치는 수위나 패턴이 달라진다. 그래서 하드호프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