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만이 안다고 알려져 있던 질병 발병의 비밀을 밝히기로 결심한다.유전학은 단순히
생물학
의 한 분야가 아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복잡한 데이터과학이다. 그래서 많은 유전학자들은 동시에 유능한 데이터 분석가이기도 하다. 자료를 효율적으로 비교해 새로운 특징을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줄였다. 반대로 극지방에서는 두꺼운 피하지방을 만들어 추위에 대비했다.이렇게
생물학
적으로 적응하는 일만 중요한 것은 아니었다. 극한 환경에서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기도 쉽지 않았다. 자연재해도 극복해야 했다. 인류는 다양한 지역에서 환경에 맞는 고유한 생존 전략을 세워 위기를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때 진가를 발휘했다. 초소형 비행로봇의 모델은 바로 ‘파리’.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생물학
적 연구도 많이 돼 있기 때문이다.[스위스 로잔연방기술연구소(EPFL)의 다리오 플로레아노 교수팀이 개발한 ‘메뚜기로봇’. 이 로봇은 생김새만 메뚜기를 닮았을 뿐 일반 로봇처럼 모터를 이용해 ... ...
산더미 같은 데이터에서 보물 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요인도 188개나 발견됐다.연구팀의 파디스 사베티 하버드대 시스템
생물학
센터 교수는 “많은 데이터가 복잡한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성원경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정보기술연구실장은 “많은 양의 자료에서 패턴을 찾아내 먼저 가설을 세운 뒤 실험으로 ... ...
공룡도 철새처럼 이동하며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이동하며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공룡이 거주지를 이동하며 살았는지는 고
생물학
자들에게 오랜 관심사이자 풀리지 않는 수수께기였답니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지질학과의 헨리 프리케 교수 연구팀은 초식 공룡 사우로포드(사진)의 치아 화석을 산소 동위원소를 이용해 분석했어요. 연구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인터넷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전산분야를 넘어, 면역체계나 신경세포를 연구하는
생물학
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누구라도 6단계면 연결된다?!페이스북에서 친구를 맺으면 친구의 친구와도 쉽게 인맥을 맺을 수 있다. 이렇게‘친구 맺기’로 연결된 사람들의 인맥이 커다란 네트워크를 ... ...
발도 튼튼! 몸도 튼튼 ! 신발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신발손가락 대신 발가락을 끼우는 장갑 같은 신발도 있다. 하버드대학교의 진화
생물학
자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운동화를 신었을 때보다 맨발로 달릴 때 인체가 자연스럽게 발바닥의 옆과 앞볼을 이용해 충격을 덜 받는 방식으로 뛴다는 것을 알아 냈다. 발가락 모양의 신발은 발을 보호하면서도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과학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애벌레 사육을 통해 얻은 기록을 공유할 수 있다면
생물학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을 읽었던 많은 독자들의 제보와 정보 제공을 기대한다.15년 동안 세상에서 꼭꼭 숨어 있던 애벌레를 연구하면서 수집하고 쌓아두었던 정보를 대중들이 읽을 수 있도록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판서 정도는 돼야 하지 않았겠는가? ‘총, 균, 쇠’로 1998년 퓰리쳐상을 수상한 진화
생물학
자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이 책에서 “수많은 발명품은 모두 필요에 의해 발명됐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대부분은 단지 호기심 많거나, 이것저것 주물럭거리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만들었다”고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깊은 바다 해저 퇴적물에서 동갑동물문(門)에 속하는 작은 해양 동물 3종을 발견해 ‘BMC
생물학
’에 발표했다. 영구적으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견된 최초의 다세포 진핵생물이다. 현미경으로 이들의 세포를 들여다보자 미토콘드리아가 없었고 대신 하이드로게노솜과 비슷한 세포소기관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