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입"(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척추동물의 뇌는 모두 닮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입과 항문이 따로 있지요. 이에 반해 플라나리아, 말미잘, 해파리 같은 무척추동물은 입과 항문이 하나랍니다.척추가 없으면 뇌도 없니?우리는 척추 뼈가 없기 때문에 사람의 뇌와 척수처럼 고도로 발달한 중추신경계를 가질 수 없어요. 그렇다고 신경세포가 아예 없는 건 아니랍니다. 말미잘 같은 ...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된 일이 아닙니다. 여전히 의학적인 지식과 경험이 의사의 판단에 가장 중요한 것도 사실입니다. 아직은 비용이 많이 들어 모든 환자에게 적용하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학이 의학에 더 많이 활용될수록 더 정확하고 만족스러운 재건 성형이 가능해질 것은 분명합니다. 머지않아 수학과 재건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범인으로 지목한 직후, 북한의 인터 넷이 며칠 동안 마비됐다. 미국 정부는 어떠한 공식 입 장도 내놓지 않았지만 모두 미국의 소행으로 짐작하 고 있다. 북한 인터넷 마비에 사용된 기술은 디도스 (DDoS)다. 디도스란 인터넷 회선에 대량의 쓰레기 정 보를 전송시켜 회선을 마비시키는 기술이다. ...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넘는 거대한 아나콘다를 만났다. 하지만 물속에 있는 아나콘다를 잡는 일은 아나콘다 입속으로 들어가는 것만큼이나 위험했다. 아나콘다가 몸을 칭칭 감고 물속으로 끌어당기던 순간을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하다.뱀은 먹이를 산 채로 먹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 과거에는 뱀이 죽은 먹이만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물에 몸을 적시자, 굳어 있던 근육이 풀리고 마음도 노곤해졌다. 불과 얼마 전 지하상가 입구에서 서 있던 자신의 모습이 떠올랐다.그땐 잠수함 같이 생긴 이 곳에서 따뜻하게 샤워를 하리라곤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문득 이 벙커를 만든 건축가가 생각났다. 벽돌을 하나하나를 올릴 때 어떤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턱을 움직일 때마다 위아래 턱을 잇는 관절에서 소리가 난다거나, 턱이 아파서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한다면 맛있는 것도 먹기 힘들고 통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지요. 이럴 땐 턱관절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해요.턱은 17세가 될 때까지 계속 자라요. 그래서 턱뼈가 단단하게 완성되는 17세 이전에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증명”이라고 말한다. 간결함과 자연스러움도 좋은 증명이 갖춰야 할 모습이다.수학자의 입장에서 컴퓨터의 증명은 이미 알고 있지만 복잡하고 험해 가지 않는 길일 뿐이다. 수학자의 관심은 아예 지도 위에 가기 편하고 안전한 새로운 길을 그리는 데 있다. 그렇다고 컴퓨터의 노력이 헛수고만은 ... ...
-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또 도망가잖아!새벽까지 꾸벅꾸벅 졸며 기다렸더니 우롱이가 돌아왔어. 그런데 너, 대체 입에 뭘 물고 있는 거니?신…, 문? 게다가 이게 무슨 내용이야? 도시…, 생태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도시생태계의 비밀Part 1. 우롱이 생태일보Part 2. 도시에선 고양이가 최고 포식자!Part 3.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높아졌다. 도로 위의 ‘자동차 밀도’가 높아지면서, 어느 순간 멈춰버린 자동차처럼 입소문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굳어 버렸다. ‘인기 밀도’는 점점 높아지는 반면, ‘제발 한 번만 먹어보자’는 사람은 계속 쌓이기만 하면서 ‘소문 정체’가 일어난 것이다.한 번 높아진 밀도는 쉽게 낮아지지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양자역학에 지수함수가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물리학을 전공한 고독한 미식가는 대학교에서 양자역학이 제일 어려웠답니다. 난해한 개념도 개념이지만 계산이 굉장히 복잡해 실수하기 일쑤였지요. 곱셈도 쉽고 미적분하기도 편한 지수함수를 썼는데도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