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실제로 전자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래서 반도체공학은 전자공학의
큰
분야에 속한다.그런데 전자공학에서는 현재 전자가 아닌 빛으로 전자소자의 역할을 대신하려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를 통해 차세대 컴퓨터의 하나인 광컴퓨터를 만든다는 웅대한 계획을 갖고 있다.전자의 흐름을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것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역의 넓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력 공군기인 F-16의 가장
큰
문제도 바로 활동반경이 좁다는 점이다. F-16의 경우 독도 상공에서 전투가 벌어졌을 경우 불과 5분을 버티기 힘들다. 연료의 한계 때문이다. 사실 작전을 펼칠 수 있는 전투 반경이 넓지 못한 전투기는 별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런 국내 상황을 바꿔, 신약개발의 전주기를 우리만의 기술로 이뤄내겠다는
큰
뜻을 품고 시작됐다.공들인 대가는 이뤄진다는 믿음사업단이 처한 상황은 유리하다. 최근 생명공학의 발전은 신약개발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다. 속속 밝혀지는 유전자와 단백질의 비밀은 신약개발 가능성을 점차 ... ...
미지의 화합물 저축해 무한가치 창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화합물은행은 질환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신약 설계에도
큰
몫을 한다. 화합물은행은 화합물의 구조와 물성 등 화학적 정보와 활성과 독성 등 생물학적 정보를 데이터로 정리, 체계적으로 보관한다. 이 정보는 화합물과 단백질 간의 결합패턴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공계 기피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손꼽힐 수는 없다는 말이다.교차지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이를 ‘이용’해 이공계나 의학 계열에 진학한 문과 출신 학생들이 이과 과목에 대한 기본이 부족해 대학 교육의 부실화를 가져온다는 점이다. 어려운 수학2와 과학 과목을 피하고, 비교적 공부가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많은 차이가 있다.4부까지 제작된 에어리언 시리즈에서 여전사 리플리의 가장
큰
적은 에어리언을 전쟁 무기로 이용하려는 기업과 정부였다. 1부에서 4부까지 에어리언들에게 희생된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이 아닌 거대 자본과 국가의 이익 추구에 의해 에어리언에게 바쳐진 제물이었다. ET는 이런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쐬므로 1년에 평균 5번 가량 X선 촬영을 하는 셈이다. 그러나 이 정도는 사람에게
큰
해가 되지 않는다. 사람 몸 속에는 손상된 DNA를 고쳐주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효소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방사선을 많이 쬐는 경우다. X선 촬영기 앞에서 패션쇼를 하지 않는 이상 일반인이 이 만큼의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볼 수 없다. 하지만 국문(國門)의 성격을 띠는 남대문의 예에서 보듯, 그것이 과장돼
큰
규모로 사용됐을 때는 그 단순미가 엄청난 위력을 가진다. 중국 북경의 자금성에 있는 태화전도 마찬가지다. 태화전은 우리의 경복궁 같은 중심건물인데, 이 태화전의 지붕 역시 담담한 우진각지붕으로 돼 있다. ... ...
세명의 손자로 이어진 과학사랑 헉슬리 가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나름의 방식으로 과학사랑을 실천했다. 그리고 현재도 실천하고 있다.줄리앙 헉슬리의
큰
아들인 프란시스 헉슬리 역시 인류의 기원을 찾는 과학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헉슬리 가문의 과학사랑은 계속될 것이며, 과학 명문가로의 위상에도 변함이 없을 것 같다.그렇다면 우리는 ... ...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새로운 주장을 제안할 때는 가능한한 그것이 논리적으로 반증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고 봤다.이런 입장에서 포퍼는 귀납적 철학을 바탕으로 반복적 활동을 강조하는 교육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며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과학이란 새로운 ... ...
이전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0
9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