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두가 있는 자연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간단히 얘기함으로써 한 학기 동안의 긴장을 유지한다. 이때 김교수를 도와주는 가장
큰
우군은 지난 학기 수강생이 제출한 ‘기말 프로젝트’다.자연과학의 세계 수강생은 성적평가를 위해 기말 프로젝트를 제출해야 한다. 김교수는 이 기말 프로젝트를 학기 초에 미리 발표한다. 그리고 ... ...
광고냐 쓰레기냐 스팸메일 비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복수를 하거나 괴롭히기 위해 같은 내용의 메일을 반복해서 보내거나 파일 크기가
큰
메일을 보내는 경우가 그렇다. 인터넷에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의 관리자와 같이 사이트 자체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계정에 대해같은 내용을 여러번 발송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한편 e메일이 아닌 메신저에서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역사의 맥과 의미를 후손들이 길이 간직할 수 있으려면 디지털 복원이 문화재 복원의
큰
흐름을 이뤄야 한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거나 불완전한 문화재를 과거의 사료와 고증을 거쳐 다시 탄생시킬 수도 있고, 현재의 문화재를 디지털 형태로 감상하고 간직함으로써 향후 훼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할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를 구분하는 기준이 마련되기도 했다. 당시 설정된 기준은 1백m(0.1μm)였다. 이보다
큰
경우 MEMS이고, 작은 경우가 나노기술에 속한다.하지만 크기만으로 MEMS와 나노기술을 분류하는 것은 아무래도 여전히 애매하다. 그리고 또다른 구분법을 얘기하는 과학자도 있다. 현재 반도체칩은 선폭이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 있어야 한다.자율구동 대장내시경 개발의 의미는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의 가장
큰
연구파트 중 하나인 생체 내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실험이 성공했다는 것이다.이제 막 첫단추을 끼운 셈이다. 하지만 아직은 가야할 길이 험난하고도 멀다. 마이크로 캡슐형 내시경의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sqrt{\frac{1}{l}}$ × l = $\sqrt{l}$ 즉 다리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만일 사람보다 1백배
큰
괴수의 걸음걸이를 찍는다면, 괴수로 분장한 사람이 걷는 모습을 촬영속도를 $\sqrt{100}$ =10배 빨리 해서 찍으면 된다. 즉 평소에 초당 36프레임의 사진을 찍는다면 이번에도 초당 3백60프레임의 사진을 찍으 ...
스마트카드 한 장이면 어디서나 만사형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전자화폐는 중요한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전자화폐를 현금과 비교했을 때의 가장
큰
이점은 각종 거래가 네트워크에서 전자적으로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유통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이다. 이미 대중교통요금 지불 분야에서 수도권 인구의 절반이 사용하고 있고, 이 교통요금을 지불하는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해리포터의 이야기가 진행되는 무대인 호그와트 마법학교와 반지원정대가 가장
큰
시련을 겪는 드워프의 도시 모리아는 소설 속의 문장으로 기술된 장소이다. 소설을 읽은 사람들은 상상력의 차이와 그 사람이 속해 있는 문화의 차이에 의해 각자 다른 호그와트와 모리아의 이미지를 상상하게 ... ...
특별한 물리교사 도다 이치로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자신의 실험장치에 대해 “조작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자랑한다. 드라이아이스 위에 투명한 안개상자 용기를 놓고, 알코올을 넣고, 유리 뚜껑을 덮고 전원을 넣으면 된다.특히 용기 바닥인 알루미늄판에 4백41개의 나사를 붙인 후 이 알루미늄판을 두께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전통과학의 참모습을 제대로 쓰고 싶다”고 했던 저자의 바람을 함께 이룰 수 있다면
큰
수확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그래서 저자의 ‘한국과학사’가 과학사 연구를 시작한 1세대가 아직은 빈약한 연구성과를 모아 얼기설기 엮은 그물이라면, 한국 과학사의 구체적인 실상이 잡힌 언젠가 후학들에 ... ...
이전
977
978
979
980
981
982
983
984
9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