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감온도와 불쾌지수과학동아 l1999년 12호
- v (m/초)일 때 체감 온도 T (℃)를 구할 수 있다. 이때 T 를 풍랭 지수(wind-chill index)라고 하는데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표).T = 33- $\frac{1}{22.04}$ (10.45 + 10$\sqrt{v}$-v)(33-t)이 공식은 풍속이 초속 1.79m(빠르게 걷는 속도)와 초속 20 m(시속 72km) 사이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이게 인터넷이 풀어야할 21세기의 과제다. 찾아가야할 주소가 많아지고 있어 주소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최근 미국에서는 지금의 인터넷보다 1천배나 빠른 인터넷2와 차세대인터넷(NGI) 개발이 한창이다. 인터넷2는 정보통신업체와 대학이 추진하는 계획이고, ...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쓰인다.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은 D램과 달리 전원만 연결돼 있으면 칩 내부에 기록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고 유지된다. 트랜지스터 4개와 커패시터 2개를 쓰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IC 한 개당 기억 용량은 크게 할 수 없으나 고속처리가 가능하고 저전력에서도 동작한다.F램(Ferroelectric ..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고릴라, 1천마리가 채 되지 못하는 산악 고릴라, 그리고 적은 수의 침팬지들뿐이다. 그런데 이들은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큰 유인원들이 살고 있는 열대 우림지대는 점차 황폐해지고 있으며, 벌목 때문에 점차 유인원의 삶의 터전이 없어지고 있다. 열대우림지대는 지구에서 ...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있다. 9개의 8각형 각각의 동일한 위치에 차례로 1부터 9까지 배열하고, 다음 번 자리 9군데에는 반대로 18부터 10까지를 위치시키는 식으로 숫자를 계속 써 나간다. 그름에서처럼 1-9, 10-18, 19-27 등으로 숫자를 써나가는 순서는 반드시 정수의 배열을 따를 필요 없이 홀수/짝수를 분리해 매겨가더라도 ...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내년에 총 연구개발비로 올해보다 17% 늘어난 2백40억달러를 쏟아부을 예정이다.이 가운데 가장 많이 투자되는 분야가 알츠하이머형 치매, 정신분열증, 우울증, 간질, 파킨슨씨병 등이 해당하는 뇌신경계 질환이다(26%). 다음으로 암, 골다공증, 당뇨병 등과 같은 악성종양·대사장애 분야(21%), ...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과학동아 l1999년 11호
- 하고 있다.또 방사선을 암치료나 암진단처럼 대단한 중병에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역시 오해다. 병원에서 사용하는 1회용 주사기, 주사바늘, 수술용기구, 봉합실 등 간단한 의료용품들은 거의 모두 방사선을 쪼여 멸균한 것이다. 현재 의료용품 중 방사선으로 멸균처리를 한 것은 40여종, ...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화학상-아메드 즈웨일과학동아 l1999년 11호
- 근본적인 이해는 결국 화학반응을 제어하고 생명현상을 이해하며, 환경을 보존하는데 있어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금번 즈웨일 교수의 노벨화학상 단독수상으로, 펨토화학 및 관련분야(반응동역학)의 기초과학으로서의 높은 가치가 다시 한번 확인된 계기가 되었다.사족을 ... ...
- 공룡들의 IQ과학동아 l1999년 11호
- 공룡이 살아 움직이는 것을 본 사람은 없다. 그런데도 영화 '쥐라기공원'과 '잃어버린 세계'에서는 공룡들의 행동과 습성을 생생하게 재현해내고 있 ... 적당하지는 않다. 하지만 공룡들은 1억6천만년 동안 자신들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끄는데 필요한 뇌의 능력을 갖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별 수가 줄어드는 것처럼 유성도 밝은 것밖에 보이지 않는다.■ 맨눈 관찰유성을 보는데는 맨눈관측이 가장 적합하다. 망원경은 상을 확대하기 때문에 유성처럼 넓은 범위의 현상을 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맨눈으로 유성을 보기 위한 특별한 방법은 없다. 다만 눈을 어둠에 충분히 적응시키고, ... ...
이전9789799809819829839849859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