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많은 문학동인이 있는 나라이다. 그런
데
SF 잡지는 한권도 없으며, SF가 분명한
데
도 책 광고에는 “이 소설은 공상과학소설이 아니다. 10년 안에 다가올 우리의 현실이다” 따위의 모순적인 문구가 들어가기도 한다.소설을 포함한 모든 문화상품은, 한 사람의 머릿속에서 별안간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떨어졌기 때문이다.따라서 대부분의 빙과업계에서는 날씨 예측이 가장 중요한 업무 가운
데
하나다. 1년 중 5-8월에 1년 장사의 70%를 완료시켜야하는 빙과업계는 날씨를 잘못 예측하면 재고 비용과 평당 5-6만원 이상의 비싼 냉동창고 비용만 고스란히 떠안게 된다. 따라서 빙과업계 마케팅팀은 ... ...
바코드 안전장치 '체크숫자'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 있다. 가중치를 주는 방법을 바꾸고 10 대신에 11이라는 소수를 이용한 효과다.그런
데
도서 번호는 바코드로 나타나 있지 않으므로 스캐너로 직접 읽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도서 번호를 상품 번호로 바꾼 바코드를 함께 제시한다. 국내 단행본 번호 ‘978’ 뒤에 도서 번호의 처음 9개의 숫자를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초거성에 속해 있다. 즉 푸른 별은 젊은 별이고 붉은 별은 늙은 별임을 알 수 있다. 알
데
바란은 거성 단계이고 베텔규스는 적색거성으로 곧 수명이 다하리라 예상된다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DNA 구조가 이중나선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은 로제타스톤(이집트 상형문자를 해독하는
데
단서가 됐던 돌)을 발견한 바와 같다"고 말했다. DNA이중나선구조는 멘델 이후 1백여년 동안 풀려고 노력했던 생명복제의 신비를 밝히는 결정적인 단서가 됐다.이후 DNA 염기들의 배열순서에 따라 유전자가 ... ...
소금물 위에 글씨 쓰기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Cl₂)로 된다.양이온인 나트륨이온(${Na}^{+}$)과수소 이온(${H}^{+}$)은 (-)극으로 끌려오는
데
나트륨 이온보다 훨씬 전자를 쉽게 받는 수소 이온이 전자를 얻어 수소기체로 발생한다.전기분해 결과 소금물 속에는 나트륨 이온(${Na}^{+}$)과 수산화 이온 (O${H}^{-}$)이 (-)전극쪽에 있게 된다. 이것이 염기성인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지점에 직접 올라가 탑자리의 흔적을 찾았다. 그곳은 커다란 바위로 이루어진 암반이었는
데
소나무 잎이 두껍게 덮여 있었다. 소나무 잎을 긁어서 걷어내자 바위의 중앙부분에서 탑을 세울 때 바닥을 고르기 위해 바위를 깎아낸 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지점의 탑자리 흔적은 전남대 발굴팀도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데
는 적당하지 않다. 1백g당 열량이 쇠고기 1백16kcal, 돼지고기 1백35kcal, 닭고기 1백26kcal인
데
비해 개고기는 1백13kcal로 가장 적다. 또한 개고기에서 생식기관에 작용하는 특별한 성분이 발견되지도 않았다.편안히 죽을 권리복날 개 패듯 한다’는 말이 있다. 어째서 개를 잡을 때 두들겨 패서 잔인하게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때문에 새로운 로켓을 개발하기 위한 밴가드(선봉이란 뜻)계획을 수립했다. 그런
데
밴가드로켓을 개발하기도 전에 러시아가 선수를 쳐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궤도에 올려놓았던 것이다.최초의 밴가드로켓은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지 두달 후인 1957년 12월 6일에 시험발사됐다. 그러나 너무 서둔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을 이용한 것처럼 보인다. 반중력이란 중력과 반대로 물체가 서로 밀어내는 힘이다.그런
데
반중력은 아직 실제로 존재한다는 명확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그 크기가 중력에 비해 턱없이 작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다. 설령 반중력이 존재한다해도 자동차를 띄울 ... ...
이전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89
9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