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짓는 동물들의 대표가 모인 이 자리에서 ‘국제동물농부협회’를 창립해 각자 오랜 세
월
축적해 온 농사의 노하우를 공개하고 교류하고자 합니다.솔직히 저는 개미 말고 어떤 동물이 농사를 짓는지 잘 모릅니다. 그래도 생물학자라는 몇몇 부지런한 사람들이 지구촌 구석구석에서 많은 분들을 ... ...
10억분의 1m 여행으로 꿈을 심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쓴 것은 지난해 10
월
. 현재 2만 개가 넘는 콩이 모였다. 콩 1개는 100원의 가치가 있으니 4개
월
사이에 200만 원이 넘는 기부금이 모인 셈이다. 김 교수는 “과학의 기쁨을 나눠줄 수 있는 블로그 운영과 나노원정대 모집을 앞으로 계속해서 진행할 것”이라고 뜻을 밝혔다 ... ...
차세대 전자부품 초박막 반도체를 칠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아이디어를 내 수정한 것이 많다. 고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스몰’ 2
월
18일자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광주과학기술원에 부임한지 2년 만에 이뤄낸 성과다.이렇게 만든 초박막 반도체는 마치 잉크처럼 칠할 수 있다. 잉크롤러로 여기 저기 문지르기만 하면 쉽게 붙는다. 원하는 곳에 ... ...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될 날을 꿈꾸며 하루하루를 알차게 보내기로 마음 먹었다.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월
화수목금토일, 매일에 대한 공부계획을 세운다. 2. 수학은 인터넷 강의와 주말 학원을 통해 3학년 3
월
전까지 모의고사 준비를 마치는 것을 목표로 공부한다. 3. 과학은 방학 동안에 인터넷 강의로 물화생지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한편 으로는 호모 사피엔스와 비슷하게 가족을 이뤘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올해 1
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연구는 심지어 며느리가 남편 집으로 시집을 온 게 아닌가 추측하게 도 하는 유전자 분석 결과가 나오기도 했어요.아, 저기 우리 할머니가 보이네요. 저를 키워주셨어요. 별로 ... ...
모의 우주선, 257일 만에 화성 착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0(Mars500)’의 진행 상황이다.가상 우주선에 탑승한 우주인들은 지난해 6
월
3일부터 8개
월
이 넘는 기간 동안 우주비행을 가정한 격리생활을 하며 지냈다. 참여한 우주인은 총 6명으로 러시아, 유럽, 중국 국적을 가진 공학자, 의사, 물리학자들로 구성됐다. 이들 6명 중 3명이 2
월
8일 화성 궤도에 도착해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영상의학 장비 등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지 2
월
18일 호에 소개됐다.미국 예일대 물리학자인 더글라스 스톤과 휴이 카오는 전통 레이저를 연구하다가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안티레이저 개념을 생각해냈다. 보통 레이저를 만들 때 갈륨비소 같은 물질을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손이나 발 등 신체 일부가 없는 사람은 의족이나 의수 같은 ‘의지’를 끼고 생활한다. 인류는 3000년 전부터 의지를 썼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맨체스터대 생 ... 이보다 300년 정도 앞선 기원전 600년 전 것이다. 핀치 박사팀의 연구 결과는 의학저널 ‘더 란셋’ 2
월
12일자에 실렸다 ... ...
세계 일주 나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동차 회사 ‘벤츠’의 수소연료전지차가 1
월
29일 세계 일주를 시작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수소연료전지차의 가능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현재 세계 총 200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늘리기 위한 캠페인의 의미도 담고 있다. ...
잠꾸러기 원인은 유전자 고장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팀은 KAIST 생명과학과 최준호 교수팀과 공동으로 이 같은 연구를 수행해 2
월
17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연구팀은 초파리에서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유전자 중 ‘per’ 유전자를 없앴더니 초파리의 생체리듬이 망가졌다. 연구팀은 per 유전자가 생체시계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 ...
이전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9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