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원했다는 사실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전 회장은 2008년 1
월
3일 허리케인을 통제하고 예방하는 기술과 관련해 미국 특허청에 낸 신청서에 발명가 중 한 명으로 이름을 올렸다. 게이츠는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뒤 매년 미 남동부를 강타하는 허리케인을 길들이는 일에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못하고 모랫더미 속에 파묻혀 버렸다. 그 후예들은 아직도 사막에 기대어 살고 있다.세
월
이 흐르면서 모래 바람을 따라 혜초의 발자국은 지워졌지만 그가 걸어온 길은 지워지지 않았다. 또 그가 걸었던 5만 리의 여정과 그의 정신은 왕오천축국전으로 지금껏 살아 있다. 젊은이들에게 세상을 품을 수 ... ...
태양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계의 끝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
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도권과 대도시에 모여 있는데다 과학자를 직접 만날 가능성도 없다.정 교수가 ‘10
월
의 하늘’을 계획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정 교수는 “어린 시절에 과학이 주는 경이로움을 체험한 청소년은 우주와 자연, 생명을 존중하고, 그것을 탐구하는 삶을 가치 있게 생각한다"며 "이런 기회가 거의 없는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라질 것이다.위에 소개한 가상 요리들이 올해 실제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지난해 9
월
농촌진흥청 발효이용과 한귀정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굳지 않는 떡 제조 기술’ 덕분이다. 이 기술로 만든 떡은 시간이 오래 지나거나 냉장고에 보관해도 단단해지지 않고 말랑말랑하다. 냉동실에 꽁꽁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표면과 충돌하며 만들어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9년 10
월
우주로켓 엘크로스(LCROSS)를 달 표면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한 뒤 달에 물이 존재한다는 생각은 정설로 굳어졌다. 그 이후 과학자들은 달의 물이 어디서 왔는지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미국 테네시대 ... ...
한국에 ‘쥐라기 공원’ 새로 생길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시아에서 최초로 발견된 절지동물 생흔화석 등이 있는 ‘살아 있는 박물관’이다. 영
월
군 자연동굴은 대표적인 석회암 지대로 고생대 지층의 특성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다. 강원 철원군 한탄강 유역은 20억 년 전 선캄브리아시대에서부터 중생대, 신생대까지의 지층이 보존돼있는데다 구석기 ... ...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6년 안에 매머드를 재탄생시킬 계획”이라고 ‘더 데일리 텔레그레프’와의 인터뷰에서 1
월
13일 밝혔다. 매머드는 약 480만 년 전부터 4000년 전까지 존재했다. 코가 길고 상아가 4m나 되는 동물로 코끼리와 닮았다. 온몸이 털로 덮여 있어 추위에 강했지만 마지막 빙하기 때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들기 시작했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4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역전됐다. 레노는 3
월
부터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다른 경쟁자에 비해 1년 이상 빠르다. 김 교수는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우리나라가 최초로 마지막 변환상수를 발견할 수 있다”며 “처음에는 외국 과학자들이 의구심을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존 방법보다 간암 검진율을 50% 이상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09년 9
월
‘프로테오믹스’에 게재됐다.이어 백 교수팀은 이 단백질을 간암 진단용 마커로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특허를 받았다. 또 이 기술을 ‘신테카바이오’라는 국내 산업체에 이전했다. 신테카바이오는 임상 ... ...
이전
995
996
997
998
999
1000
1001
1002
10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