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소행성 파편의 무리, 즉 베스타 소행성족이 이어 발견됐다. 이들은 근일점이 2.15AU(천문단위, 1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인 베스타부터 태양에서 2.5AU 떨어져 있는, 목성과의 3:1 공명궤도 위치까지 연속으로 늘어서 있다. 목성 중력의 영향으로 불안정한 이 공명궤도에서는 물체가 금방 ... ...
- “물과 기름, 친해지고 싶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분야인 나노 기술이다. 나노 기술(Nano Technology; NT)이란 원자나 분자 정도의 작은 크기 단위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조립, 제어하며 그 성질을 측정, 규명하는 기술을 말한다. 1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로서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에 해당한다. 계면활성제는 이렇게 작은 나노 입자의 모양을 ... ...
- 물리학상 - 양자컴퓨터 성큼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제시했다. 파인만의 아이디어는 매우 간단했다. 기존의 고전 컴퓨터에서는 정보의 최소단위로 0과 1이라 불리는 비트(bit)를 사용한다. 그는 이와 유사한 ‘양자비트(큐비트, qubit)’를 만들고, 여러 개의 큐비트를 이용하면 양자정보처리가 가능할 것이라 예상했다.큐비트는 고전적인 비트와 달리 0과 ...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생태계!조현진(대전 용전중2)산호초는 바다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이 사는 서식처예요. 또 단위 면적당 광합성 능력이 뛰어나 ‘해양의 열대우림’이라고도 불리지요. 열대 산호 환경은 보통 육지와 가까운 곳부터 맹그로브 숲, 잘피밭, 산호초, 이렇게 3단계로 나타나요. 산호는 물이 흐려지면 ...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있다(인류학자에 따라 논란 중). 아프리카를 떠나 동남아시아로 이주할 때는 소수의 집단 단위로 이동했다. 오늘날의 진화론은 이렇게 개체가 고립된 소수일 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유전자를 많이 잃는다고 본다. 유전자의 다양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서 먼 곳은 유전자 ...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그런데 고등학교 입시에서 삐끗한 것이다. 과학을 좋아해 영재원을 다녔지만 전국단위모집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를 지원했다 모두 탈락했다. 지금은 일반 공립고에서 이과를 지망하고 있다. B학생은 이과성향임에도 불구하고 왜 문과가 유명한 자사고와 외국어고를 지원했는지 의문이었다. ...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비저항은 단위면적당, 단위길이당 저항을 말하며 물질에 따라 값이 다르다. 비저항의 단위는 Ωm다. 물질이 전류를 얼마나 잘 흐르게 하는가를 나타내는 값인 전기전도도와 비저항은 서로 역수관계다. 전류가 흐르는 액체, 전해질 용액 전류는 도체에서만 잘 흐르는 것이 아니다. 소금물 같은 ... ...
- 태양~지구 거리 정해졌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데 만장일치로 합의했다.au는 태양계 내부 및 외부의 천체 거리를 나타낼 때 쓰는 천문단위로, 태양에서 가장 먼 명왕성의 긴 반지름은 39.5au이고, 태양계에 가장 가까운 행성(센타우루스자리 α)까지의 거리는 27만 au다.과거에는 지구에서 화성이나 목성까지의 거리와 연주시차를 이용해 태양과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이름에서 비롯됐다(오늘날 자력의 단위인 ‘가우스(G)’도 같은 과학자의 이름에서 따왔다).코일건 탄환은 레일을 스치지 않는다코일건은 1900년 노르웨이 물리학자 크리스티안 비르셜란의 아이디어로 처음 탄생했다. 당시 기술로는 실용화하지 ... ...
- 피라미드와 앙코르와트, 누가 먼저 무너질까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규모에 비해 훌륭한 건축물이라고 극찬을 받는 이유는 전체적인 구조에도 있다. 수t 단위의 무거운 돌을 사용해 사원을 지으면서도 돌과 돌 사이를 붙이기 위해서 모르타르같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돌과 돌 사이로 습기가 흘러갈 틈을 만들어 비교적 물에 약한 화강암을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