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리
상태
상테
뉴스
"
심리상태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 정도면 노인 아니야"…노년기 인식 연령 더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사람들이 노년기라고 인식하는 연령이 과거와 비교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몇 살부터 노인이라고 하시겠습니까?" '이제는 100세 시대'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받아들여질 정도로 수명이 길어지면서 몇 세부터 노인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도 갑론을박이다. 노인으로 봐야 하는 연 ... ...
'뇌파'도 개인정보…콜로라도주, 美 최초 개인정보보호법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2
미국에서 최초로 개인의 뇌파 정보를 보호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뇌파를 이용해 몸을 움직이고 심리를 진단하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뇌파를 개인정보로 보호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 콜로라도주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개인의 뇌파 정보를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흘러가는 생각 속 자기 관련도와 긍정, 부정 정서는 성격과 인지 특성, 정신 건강 등을 알려주는 중요 지표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뇌의 활동 패턴을 측정해 사람의 생각 속 정서 상태를 읽어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우충완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기능적 자기공명 ... ...
욱한 마음 누르는 뇌 원리 찾았다…'감정 조절' 치료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뇌 영역을 살핀 연구결과가 나왔다. svt1992/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머릿속에 떠오는 감정대로 대처한다면 사회 질서가 유지되기 어렵다. 인간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해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한다. 인간이 어떻게 감정을 조절하는지 살핀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감정 조절을 강화 ... ...
DNA 분석만으론 어려운 '참·거짓' 가리는 '진술분석'
과학동아
l
2024.03.30
대검찰청 도비라.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편집자주] 과학동아는 1월호부터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수사기술 연구를 가상사건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사건파일 #3 장화홍련전 굳은 표정으로 눈앞에 서 있는 이번 사건의 피해자들은 유령이다. ... ...
주 2~3회 꾸준히 운동하면 불면증 위험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꾸준한 운동과 수면의 질 사이를 살핀 연구 결과가 나왔다. PeopleImage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주일에 2~3회 꾸준히 운동하면 6~9시간 권장되는 수면 시간의 질이 향상되고 불면증 위험은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됐다. 에를라 비욘스도티르 아일랜드 레이캬비크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루에도 몇 번씩 'XX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다'는 말을 자연스럽게 할 정도로 스트레스란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는 친숙한 개념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생각보다 스트레스의 정체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스트레스는 무엇일까? 원인일 ... ...
[과기원NOW] KAIST 융합인재학부 1호 졸업생 탄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왼쪽부터) 고경빈·김백호 KAIST 융합인재학부 졸업생, 이혜민 전지및전자공학부 졸업생. KAIST 제공. ■ KAIST는 16일 오후 2시 대전 본원 류근철스포츠컴플렉스에서 2024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개최한다. 박사 756명, 석사 1564명, 학사 694명 등 3014명이 학위를 받는다. 올해는 2020년 신설된 융합인재학부 첫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필자는 몇 해 전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었는데 병문안을 온 친구에게 번거롭게 먼 길 오게 해서 미안하다고 했다. 그냥 으레 아니라고 괜찮다고 할 줄 알았는데 친구의 반응은 그런 생각은 해본 적도 없다는 듯 “내가 오고 싶어서 내 발로 왔는데 왜 네가 미안해 해?”였다. ... ...
나무 많은 곳 걸으면 뇌 활동 개선…"인간은 자연 사랑하도록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자연 환경에서의 걷기 활동이 두뇌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monkeybusinessimage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설처럼 긴 연휴가 끝나면 명절증후군이 찾아온다.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고 학업이나 업무로 복귀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같은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연휴 기간 공원과 같은 녹색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