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지
상태
입회
관점
입학
등장
입항
스페셜
"
입장
"(으)로 총 9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겁니다.” 박한오 사장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벤처기업
입장
에선 수요공급 원칙을 통한 실리적 연구 펼쳐야 △ 올바른 투자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전문적인 바이오 펀딩 컨설턴트 양성해야. 박한오 사장은 1984년 서울대 화학과 학사 1986년 KAIST 화학과 석사 1992년 KAIST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26
성질’부터 밝혀내자고 하니 서로 말이 통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양 국장은 “이런
입장
을 헤아려 꼭 필요한 정책을 만들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 정책을 통해 과학기술자와 기업인 사이에 필요한 정보소통 창구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중기청, 과기인 지원도 양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정 부분 부처간 영역이 중복되는 것은 허용할 수 있다는
입장
을 밝혔다. 송 원장은 “세부적으로 각 부처마다 역할이 있기 때문에 일원화시키는 것은 어렵다”며 “각 부처별로 적극적으로 예산과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효율적인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향후 타임라인을 고민하면서 현실적이고 명확하게 단계별 전략과 예산을 짠다. 투자자
입장
에서는 투자가 이뤄진 그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일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광호 박사=결국 벤처캐피털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거다. 회사를 만든 사람은 따로 있어도 그 기업의 성장과 방향은 벤처캐피털이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열리는 바이오 관련 법률이나 제도를 주제로 한 패널 토의, 콘퍼런스 등은 한국사람
입장
에선 당장 불필요해 보이지만 꼭 알아둬야 할 내용이다.” -협회의 역할이 중요하겠다. “그렇다. 바이오산업 특성상 협회가 중요한 위치에 있다. 협회가 이런 행사에서 최신 정보를 파악하고 리포트를 내야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그 역할을 정부 부처가 아닌 ‘출연연’이 해야 한다는
입장
이다. 공무원의 순환보직 관행이 바뀌는 것보다 출연연에 전문가 집단을 두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것. 따라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에 있는 생명공학정책센터 같은 기구가 지금보다 강화된 권한과 기능을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가장 비중이 높고 바이오 육성 정책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면서도 “막상 기업
입장
에서는 이런 지원들이 크게 와 닿지가 않는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정부의 바이오 육성 펀드를 예로 들며 상장(上場) 회사로서의 고충을 얘기했다. 그는 “정부에게서 위임 받은 펀드 운용사들이 상장하기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임상 단계의 기술을 지원하는 것은 ‘돈’만 지원하는 셈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회사
입장
에서도 안 좋다. 전임상과 임상을 정부 자금으로 할 수 있으면 당장은 좋겠지만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다면 처음부터 좋은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나을 것 같다. ▽문영춘=한국은 벌써부터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생각합니다. 농업용 건조 저장기술을 연구해도 수산업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진
입장
벽 같은 장애물이 있는 듯 분명 도움이 되는 연구일 텐데 연구발표조차 힘든 실정입니다. ▽오 과장=분야별로 기술을 공유하는 것은 좋은 생각입니다. 사실 농수산식품 기술 중 유망한 분야는 글로벌 대기업이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방향 조정은 연구비를 지원하는 정부의 몫이다. 한국처럼 과학계 전체가 크지 않은
입장
에서는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순수과학을 연구하더라도, 그 성과가 국가적인 매출과 연결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내 연구기관보다 훨씬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미국의 대형 ... ...
이전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