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명화"(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들어보겠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계절, 음식, 문화에 익숙해져 있는데요. 만약 고도로 문명화한 외계인이 우리를 화성으로 강제 이주시킨다면 어떻게 될까요? 지구에서 생활하던 것과 똑같이 생존하고 생활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인간임은 변하지 않지만 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우리의 행동과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전파 신호를 찾는 겁니다. 만약 외계인이 지구처럼 충분히 문명화됐다면, 전파로 송수신하는 TV나 휴대폰 등을 사용할 거라 생각해 이중에 우주로 방출되는 전파를 관측하려는 거죠.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해 전파로 외계인 찾기전파망원경은 우주의 전파를 모으기 위해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쫓겨 계속 다른 시간대로 달아나기만 하는 우리가 얼마나 한심해보일까? 자기네들을 문명화시켜주었다고 그런 경멸감이 사라질까?”미나는 휴대전화를 켜고 여울 소리가 이메일로 보내준 정미나 경전을 열었다. 400페이지가 넘는 긴 책으로, 미나가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개념과 이름들로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라쿤이애오! 어흠, 흠흠, 너무 흥분해서 ‘새오체’가 나와버렸네요. 저는 문명화된 차가운 도시 라쿤인데 말이에요. 만나서 반가워요. 정식으로 제 소개를 할게요. 예쁜 언니 오빠들만 모인다는 **에서 요즘 가장 핫♥한 라쿤, 오동통이랍니다. 매일같이 저를 보러 오는 손님들과 놀아주느라 나름 ... ...
- [News & Issue] 네안데르탈인, 너 식인종이었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다는 이야기가 자주 유행했다.낯선 곳에 사는, 미개하다고 생각했던 아프리카인은 문명화된 서유럽인들과는 다르게 충격적인 악행을 태연히 저지르는 존재였다는 생각에서였다. 그 여파인지, 오늘날에도 과거의 아프리카인들 중에 사람을 먹는 사람이 살았다고 믿는 사람이 꽤 많다.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남을 돕기도 한다.꼭 협력의 본성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인류는 문명화하면서 폭력과 동종 살해에서 점점 멀어져 왔다. 문명 이후 대규모 전쟁과 학살 사건이 발생한 것은 사실이지만, 인구 대비 발생량은 오히려 급격히 줄어들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스티븐 핑커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냥 기술과 언어, 문화를 지닌 진정한 사람이었습니다. 마치 유럽인이 식민지 사람들을 문명화시켰다는 논리와 닮지 않았나요. 이렇게, 서양 사람들이 네안데르탈인을 바라본 시선에는 이들이 식민지 원주민을 바라보던 시선이 스며 있었습니다. ‘넌 네안데르탈인이야’라는 말이 욕처럼 들린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지표다. 그만큼 사망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뜻이다.불평등은 자연스럽지 않다오늘날 문명화된 사회는 대부분 불평등한 사회 구조를 갖고 있으며 점점 그 정 도도 심해지고 있다. 혹시 평등보다는 불평등이 더 우수하기 때문 아닐까.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데보라 로저스 미국 스탠퍼드대 ...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왼쪽은 뇌의 가로 단면이고 오른쪽은 세로 단면이다.]도시는 뇌 구조도 바꾼다‘인류의 문명화가 낳은 가장 대표적인 인공물’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시 역시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지구촌 사람들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고 2050년에는 7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과학동아 l2000년 06호
- 일이다. 동물도 빵만으로 못살아근래 동물원의 시설은 인간에게 고급 아파트라 할만큼 문명화됐다. 사람들은 크게 자비라도 베푸는 것처럼 동물들도 이만하면 부족할 것 없이 문명의 혜택을 누리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과연 동물들에게 그러한 생활이 행복한 것일까.야생동물이 드넓은 곳에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