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치"(으)로 총 1,3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화소, 알룰로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모니터 해상도는 1920X1080였습니다. 이는 화면 가로로 1920개, 세로로 1080개의 화소가 배치되어 있다는 뜻이에요. 이를 모두 합치면 207만3600개, 즉 200만 개가 넘는 화소가 각자의 색깔을 내고 있다는 거죠. 여러분도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를 확인해 화면에 화소가 모두 몇 개인지 살펴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빠진 자리에는 새 이빨이 자라고요. 상어의 이 컨베이어 벨트 같은 이빨 재생 및 재배치 능력은 1845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이 처음 보고했습니다. 상어 이빨이 쉽게 빠지는 이유는 잇몸만으로 이빨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어떨 땐 먹잇감을 물기만 해도 ‘쑥’ 빠지곤 합니다. 반면 ... ...
- 대하소설의 전개 예상하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그다음 이미 출간된 5부의 내용을 토대로행렬을 만들었다. 이때 각 행에는 24명의 화자를 배치하고, 각 열에는 5부의 책을 출간 순서대로 배열했다. 그리고 각 편에서 각 화자가 등장하는 장이 몇 개인지 나타냈다. 예를 들어 주인공 존 스노우가 1부의 2, 3장에 등장한다면 1부에서 ‘화자 존 ... ...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얻었다. 이를 토대로 도난 범죄가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대도시에 경찰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었다. 범죄 현장에 남은 혈흔으로 단서 찾는다 단순한 감정과 감식이 아닌 과학적인 방법을 수사에 활용하는 것을 ‘과학 수사’라고 한다. 수사관은 과학 수사를 통해 범죄 현장에서 실제로 보지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왼쪽으로 보내 철벽을 세운다. 혹은 공을 외야로 많이 보내는 타자라면 외야에 수비진을 배치한다. 실제로 2020년 아메리칸리그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던 탬파베이 레이스의 DRS(수비로 실점을 막은 수치)는 44였다. 한 시즌 동안 무려 44점을 수비로 막아낸 것이다. 극단적 수비 시프트, 다저스의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각각이 꼭짓점이 되는 삼각형을 이룬다. 위의 경기장 그림과 같이 우리 팀 선수가 배치되면 상대 팀 선수가 공을 잡았을 때 주변에 있던 선수 3명이 삼각형 대형으로 압박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했듯이 우리 팀 선수 3명이 1명을 상대한다면 우리 팀이 2명이 더 많은 상태이므로 비효율적이다.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정도 마찬가지다. TA 콜라보레이션은 땅 위에 지상 검출기 507대를 1.2km 간격으로 배치했다. 지상 검출기가 기다리고 있는 사냥감은 우주선이 지구로 떨어질 때 대기와 충돌하면서 생기는 2차 우주선이다. 우주선의 정체는 자세히 뜯어보면 아주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양성자, 광자 등 입자다. 이런 ... ...
- 전략의 신 2. 고정관념 깨는 선수 기용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안착시키는 역할이 2번 타자가 하는 일이다. 하지만 공격력이 뛰어난 타자를 2번 타순에 배치하면 득점도 가능하다. 1이닝부터 선발투수를 흔들어 승리를 가져올 수도 있다. 한화 이글스가 8연승 하는 동안 2번 타자로 나선 김인환 선수도 6월 득점권 타율이 4할 9리였다. 한 경기에 네다섯 번 타석에 ... ...
- 수학으로 설계된 롤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어떻게 놓는지 알 수 없고, 많은 변수에 대처해야 하기에 영웅의 공격 사거리에 맞춰 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사거리는 어떻게 구할까? 전략적 팀 전투의 게임판은 정육각형 36개로 이뤄져 있다. 위쪽 정육각형 18개(빨간색)에는 상대방 영웅이 자리하고, 아래쪽 정육각형 18개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벡터)’와 ‘비지도신경망’ 등을 사용합니다. 워드 투 벡터는 연관성이 높은 단어끼리 배치해 언어 내 단어 간 패턴을 찾는 알고리즘이고, 비지도신경망은 전혀 모르는 두 개 언어가 주어졌을 때, 두 언어를 충분히 분석하기만 하면 두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