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류"(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드문 강이다. 평창강은 주천강과 합류해 서강이 되고 영월에서 동강과 합쳐서 한강의 본류인 남한강으로 흘러간다. 그리고 충북 단양, 제천을 지나 충주로 흐른다. 이곳에는 1985년 충주댐이 만들어지며 형성된 충주호가 있다. 충주호에 동이 막 트면 물안개가 피며 환상 속에 있는 듯한 풍경이 ...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생태계교란 생물인 배스와 블루길도 발견된 점은 못내 아쉬웠습니다만, 그래도 남한강 본류에 여주보가 만들어지면서 사라진 꾸구리와 돌상어가 새로운 터전을 찾은 것 같아 마음이 놓였습니다. 물론 아직 마음을 놓긴 이릅니다. 이들을 위협하는 요인이 여전히 존재합니다.멸종위기종인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에서 50km까지의 구간에서는 하상고도가 150m 정도 가파르게 하강한다.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중상류 지점에서는 해수면과 하상고도의 차이가 50m 정도가 되는데, 이 사이에 중간중간 ...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굴착이 시행된 곳에서 땅꺼짐이 발생했다.권 수석연구원은 “석촌동은 과거 한강의 본류였던 지역이어서 주변 지반이 하천퇴적물로 이뤄져 있어 약한 편”이라며 “터널굴착기가 터널을 파내는 과정에서 일부 지반이 무너져 내려 공동이 발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 단장은 “그나마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양자 강, 아마존 강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강으로, 전체 길이가 6000km에 이르는데요. 본류는 미국 북부 미네소타 주에서 발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SAFL)는 바로 미네소타 주 최대 도시 미니애폴리스에 미시시피 강을 끼고 위치하고 있습니다. 수력, 수생태계 등 ... ...
- [Life & Tech] 4대강 사업 사망선고를 받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물부족량을 생각하면 적절하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하지만 한편 “확보된 용수는 본류 인근 지역에서만 활용이 가능하다”라고도 밝히고 있다. 다른 곳에서 가뭄이 나면 물을 날라야만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지금의 보가 가뭄이 잘 일어나는 곳을 정밀하게 조사한 뒤에 최적의 장소에 만든 ... ...
- 초대륙 아마시아가 온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산악지대가 될 것이다. 한강, 압록강을 비롯해 현재 존재하는 강의 발원지와 지류, 강의 본류 등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남쪽의 높은 산맥(서태평양산맥)으로부터 형성된 지류가 새롭게 나타날 것이다.[1억 년 뒤 한반도는?초대륙 ‘아마시아’가 형성되면 한반도는 어떻게 될까. 호주와 ... ...
- 기후변화 시대 생활을 디자인한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최근 공간 개념을 더한 물 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유역통합관리’다. 강의 본류와 지천을 함께 관리하고, 상류와 하류를 동시에 정비하며 수량과 수질을 함께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장단기 계획을 모두 추진해 긴 안목으로 수자원을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것이 지속가능한 ...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7호
- 하천으로 복원해 물이 흐르게 하면, 그 물이 지류를 거쳐 본류로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본류의 수량도 늘고 수질도 좋아진다는 것이 이 제안의 핵심이다.이는 2007년 2월 ‘미국수자원학회지’가 특집으로 다룬 주제이기도 한데, 이후 생태학계에서 강을 살리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춘천에서 차를 타고 5번 국도를 따라 20분쯤 올라가면 화천읍 쪽에서 내려오는 북한강 본류와 지류가 합쳐지는 한적한 마을이 나온다. 행정지명으로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서오지리라고 불리는 이곳은 낚시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명소 중 하나다. 북한강 일대에 댐이 건설되면서 수몰되기 전에는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