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투사"(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 생활] 복사기, 찌릿찌릿 정전기를 이용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부분에선 흡수되어 버리고, 글씨가 없는 부분은 반사시켜요. 빛은 렌즈를 통해 드럼에 투사되는데, 그림이나 글이 없는 흰 여백에서 반사된 빛을 받고 드럼에 붙은 양전하 물질이 음전하로 바뀌지요. 이때 음전하를 띠고 있는 토너 가루가 묻은 롤러가 종이 위를 지나가면, 양전하를 띠는 그림과 ...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속속들이 도입되고 있다. VP의 도입에는 게임엔진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VP에 투사되는 영상은 연기자들의 연기와 촬영 장면에 따라 실시간으로 움직여야 한다. 수시로 만들어지고 변하는 것에 특화된 실시간 렌더링 등 기술은 게임엔진의 특기다. 박진완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 교수는 “CG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는 동안 HVC를 구성하는 45~70여 개의 투사 뉴런(projection neuron)의 활성도를 기록했다. 투사 뉴런은 축삭돌기를 길게 뻗어 멀리 떨어진 뇌 영역의 뉴런과 시냅스를 만들어 신경망을 형성한다.기록된 자료를 토대로 뉴런이 어떤 순서로 발화하는지 분석해 보니, 특정 뉴런에서 신호 전달이 1~7.5ms ...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각 단계의 함수에서 어떤 변수가 중요하게 기여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함수를 평면에 투사한 일종의 지도를 통해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최재식 KAIST AI대학원 교수는 UNIST에서 연구하던 2018년에 설명 가능한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인공지능 컬링 프로그램을 개발해 일본에서 열린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보면 어느 순간 거대한 붉은 빛줄기가 보입니다. 이 작품은 복도나 전시 공간에 빛을 투사해, 하나 이상 겹쳐진 면과 선을 만든 작품입니다. 앞서 터렐은 빛을 물질로 여겼다고 했지요? 빛이 마치 물질이 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 작품입니다. 붉 은 조명이 비스듬하게 보이는 면을 만들고, 그 위에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모양을 계속 유지하도록, 컴퓨터를 이용해 구조물의 형태에 꼭 맞게 변형된 영상을 투사한다. The Infinite Crystal Universe무한 크리스탈 우주 영화 ‘인터스텔라’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무한 크리스탈 우주’. 벽면, 천장, 바닥을 가득 채운 빛들은 점묘화처럼 하나의 그림을 만들어낸다. ... ...
- Intro 2. SF 속 우주군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이리저리 날아다녀야 보는 맛이 나지 않겠는가.그래서인지 SF에는 에너지를 직접 투사하는 무기가 자주 등장한다. 1898년 출간된 웰스의 ‘우주전쟁(The War of the Worlds)’에서 지구를 침공한 화성인은 열선으로 목표물을 녹이거나 태워버린다. 이미 현실에도 등장한 레이저 무기와 같은 원리다. 좁은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방이 검은 암실에서 이뤄지는데, 측정 장치에 얼굴을 올려놓고 눈꼬리 부위에 빛을 투사해 그 부위를 촬영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서 주름의 면적과 깊이 등을 μm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한다. 주름 개선 화장품, 이렇게 작용한다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은 콜라겐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1024개 숫자로 이뤄진 단어 벡터가 1024차원 공간에 나타나면, 이 결과를 2차원 공간에 투사했을 때 벡터 사이의 거리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벡터 사이의 거리로 무엇을 알 수 있냐고요? 의미가 가까운 단어 벡터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왕과 왕비가 무엇인지 모르지만, 왕을 나타내는 단어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구의 중심 사이 거리와 반지름을 비교해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판정하는 방식을 ‘투사체 판정’이라고 부르는데 정크렛이나 파라가 쏘는 총알처럼 크기가 크고 폭발하는 총알들은 모두 충돌상자로 싸여 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