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소
성분
요소
뉴스
"
구성분자
"(으)로 총 817건 검색되었습니다.
"AI 활용해 만든 소재, 아직 갈길 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인공지능(AI)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 기업 구글 딥마인드가 2023년 딥러닝 AI 기술을 사용해 220만 개의 새로운 물질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을 때 소재 분야에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 듯 했다. 딥마인드가 발견한 결정질 물질에는 그래핀과 유사한 층상 화합물 5만2000개, 충전 ... ...
열로 동력 얻는 'DNA 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DNA 컴퓨터는 전자회로 대신 유전물질인 디옥시리보핵산(DNA)과 다양한 생체분자 메커니즘을 활용해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에게 익숙한 전자회로 대신 유전물질인 디옥시리보핵산(DNA)과 다양한 생체분자 메커니즘을 활용한 'DNA 컴퓨터'의 새로운 동력 공급 방식이 제시 ... ...
‘세계 상위 1% 연구자’ 박남규 교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능 또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내부 소재가 뭉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했다. 성균관대는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중국과학기술대(USTC), 남방과기대(SUSTech), 독일 율리히연구소, 홍콩과기대 등과 공동 연구를 통해 페 ... ...
뇌전증 발작 이유, 3차원 전자현미경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뇌전증 환자의 뇌에 있는 흥분성 시냅스(아래쪽)가 대조군(위쪽) 대비 비정상적으로 커져 있다. 한국뇌연구원 제공.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에 이상이 생겨 발작 증상이 되풀이되는 질환이다. 발작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뇌연구원은 30일 이계주 신경회로연구그 ... ...
현미경으로 확인 어려운 '미토콘드리아 정밀 구조'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인간 세포를 나타낸 그래픽.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 속 아주 작은 공간에 있는 단백질을 정밀하게 구분하는 새로운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현미경으로도 구별하기 힘든 미토콘드리아 내부 구조를 세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미토콘드리아의 구조 및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때 ... ...
변이로 '접힘' 불안정한 단백질 구조 회복 입증…희귀질환 치료 열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톨밥탄(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V2R 구조와 결합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이미지. CREDIT/Taylor Mighell·Centro de Regulacion Genomica 우리 몸의 생명현상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3차원 구조로 '접힘'을 형성해야 제기능을 할 수 있다.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접힘 구조가 불안정해진 ... ...
월성 2호기 내부서 방사성 물질 누설…외부 유출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경북 경주시 월성 원자력발전소 전경.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경북 경주시에 있는 월성 2호기 원자력발전소(원전) 내부에서 방사성 물질 누설 사고가 발생했다. 월성 2호기는 현재 계획예방정비중으로 원자로가 정지된 상태다. 현재까지 외부 누출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전문가들이 현장 안전성 ... ...
고전컴퓨터에 양자컴 결합해 신소재 특성 계산 정확도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시뮬레이터 사업단이 개발한 반도체 칩 형태의 양자프로세서(QPU). KIST 제공 양자컴퓨터와 고전컴퓨터를 결합해 '쓸모 있는 양자컴퓨터' 구현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공동연구팀이 중간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독창적인 방법을 고안해 고전컴퓨터만 사용했을 때 ... ...
[표지로 읽는 과학] 해양 조류에서 역대 최대 '광합성 분자기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4
Science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해양 플랑크톤인 인편모조류(coccolithophore)의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해 화학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이 그려졌다. 인편모조류는 석회질 비늘로 덮인 단세포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인편모조류를 포함한 광합성 생물체 내의 거대한 단백질-색소 ... ...
'양자 레고'로 차세대 소재 혁신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9
김지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강신영 박사과정생 , 김영훈 박사과정생(왼쪽부터). KAIST 제공.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수백만 가지 다성분 다공성 물질(MTV)의 최적 구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됐다. 에너지 저장과 변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해 환경 문제 해결과 차세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