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한
규제
한정
뉴스
"
국한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독’즐기는 청소년,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10.04
간 기능적 연결성도 상대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특정 부위에
국한
되지 않고 사회적 행동과 의사결정뿐 아니라 다양한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여러 신경망 전반에서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사회적 고립이 뇌의 광범위한 회로를 변화시켜 정신건강 문제의 위험 ... ...
출연연 PBS 폐지…부처별 수요 반영한 전략연구사업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5.10.01
각 부처에 대한 의존도가 남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또 평가 기준이 인센티브 기준에
국한
되기보다는 임무 달성도 파악과 피드백에 활용돼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민형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부처 차원에서 필요한 출연연을 맘껏 활용했는데 이제 그 길이 막히는 것"이라며 "PBS ... ...
[과기원NOW] DGIST, 차세대 수소연료전지 성능 높이는 새로운 합금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신호까지 정확하게 잡아내는 데 성공했다. 정 교수는 "개발된 기술은 특정 재료나 공정에
국한
되지 않아 다른 기술과 결합하면 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02/adma.202510314 - doi.org/10.1016/j.jhazmat.2025.139842 - doi.org/10.1126/sciadv.ady027 ... ...
[1% 의사과학자]② "연구과제 끝나면 장비만 남아…연구자에 투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시신경척수염 등 희귀하면서도 치명적인 질환이지만 치료제는 면역억제제에
국한
돼 있다. 약효가 잘 듣지 않거나 부작용이 심하면 사실상 치료 수단이 없다. 박 교수와 김 교수가 주목한 것은 림프관이다. 림프관은 체내 조직에서 발생한 림프액을 한 방향으로 운반하며 면역 기능과 체액 균형을 ... ...
변이로 '접힘' 불안정한 단백질 구조 회복 입증…희귀질환 치료 열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2
변이 중 60개, 예측 변이 965개 중 835개가 톨밥탄으로 안정화됐다. 톨밥탄이 특정 변이에
국한
되지 않고 단백질 전체를 안정화해 다양한 변이에서 효과를 낸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어 톨밥탄이 어떤 방식으로 단백질을 안정화하는지 세포 내 과정을 추적했다. 단백질은 합성된 뒤 ... ...
AI가 설계한 최초 바이러스, 항생제 안듣는 대장균 사멸 유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교수는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연구가 이중성을 지닌다는 딜레마는 AI에
국한
된 문제가 아니다”라며 “생물학에서는 항상 악용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doi.org/10.1101/2025.09.12.67591 ... ...
포유류 달팽이관 청각 증폭 원리 첫 관찰…난청 치료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핵심 원리로 작동한다고 알려진 ‘호프 분기(Hopf bifurcation)’가 곤충이나 양서류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포유류의 청각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는 점을 세계 최초로 실험으로 입증한 것이다. 지금까지 가장 흔한 난청인 '감각신경성 난청'을 되돌리는 약물이 없었다. 청각 증폭의 메커니즘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믿어주는 사람의 존재'가 삶을 바꾼다
2025.09.06
더 방해하는 요소일 것이다. 또 신뢰와 따뜻한 태도의 중요성은 비단 교사-학생 관계에만
국한
되지 않을 것이다. 어떤 존재이든지 간에 사람은 '자신을 믿어주는 누군가'의 존재로 인해 성장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그럭저럭 잘 살아온 데에는 아마 그런 은인들의 존재가 한몫할 것이다. 나 역시 ... ...
뇌 특정 영역만 활동하진 않아...쥐 상세 뇌지도가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여러 영역에서 확인됐지만 세기는 약했다. 연구팀은 “뇌의 활동이 특정 영역에
국한
되지 않고 뇌 전역에 퍼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한 부위만 보고 뇌 기능을 설명하기보다 전체 뇌 상태를 함께 살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성과가 뇌 기능 이해 방식을 ... ...
난청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샷' 유전자가위로 교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8.25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연 교수는 “기존 난청 치료는 보청기나 인공와우에
국한
돼 있었지만 앞으로는 유전적 원인이 명확한 난청 환자에게 맞춤형 유전자 치료를 적용하는 새로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며 “추가 전임상 및 임상 연구를 통해 실제 환자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