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산봉우리
극한
정점
클라이맥스
산머리
산정
뉴스
"
산꼭대기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행기 탈 때 불안한 난기류, 기후변화로 늘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10.07
난기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난기류는 공기의 흐름이 불규칙하게 요동치는 현상입니다. 지표면에서 고도 약 12km까지를 대류권이라고 합니다. 난기류는 기상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대류권에서 발생해요. 난기류는 대류성 난기류와 청천 난기류, 산악파 난기류 등 세 가지로 나뉩니다. 햇볕이 ... ...
힘 빠진 암흑에너지?…우주는 '브레이크' 밟는 중
과학동아
l
2025.09.27
지도’를 그리는 법부터 알아보자. DESI 관측 장비는 미국 애리조나주 키트피크(Kitt Peak)
산꼭대기
에 위치해 있다. 관측 장비 속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들이 각자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천체를 쫓는다. 로봇들은 다채널 분광기를 장착한 직경 4m 크기의 망원경으로 먼 거리 은하에서 나온 빛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등산 vs 케이블카…정상 풍경 감흥 다를까
2025.05.03
연합뉴스 제공 처음에는 귀찮기만 했는데 막상 하고 나니 뿌듯하기도 하고 결과물에 애착이 가는 그런 경험을 다들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학교에서 과제 때문에 억지로 만들었지만 막상 만들고 나니 왠지 버리기 아깝고 소중해 보이는 미술 작품 같은 것들이 한 예다. 흔히 IKEA 효과라고 불 ... ...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김종우 제공 1월 31일 제주 한라수목원에서 백골이 된 구상나무를 만났다. 하얗게 말라붙은 나무는 한라산 꼭대기에서 약 100년을 살다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사이 한라산 구상나무 숲은 많이도 작아졌다. 2024년 9월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에서는 한라산의 구상나무 숲 ... ...
천문연 참여 국제공동연구진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70개 기관의 연구자 약 900명이 참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미국 애리조나 주 키트피크
산꼭대기
에 위치한 망원경으로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하고 암흑에너지를 연구한다. 망원경에는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들로 구성된 다채널분광기가 탑재돼 있다. 표준 모형에 ... ...
"우주 팽창시키는 암흑에너지, 점점 줄어…표준모형 수정해야 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900명 이상이 참여한 대규모 국제 프로젝트다. DESI 프로젝트는 미국 애리조나주 키트피크
산꼭대기
에 위치한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으로 이뤄진 망원경을 통해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한다. DESI 연구팀은 망원경 관측 데이터를 활용해 사상 최대 규모의 3차원(3D) 우주 ... ...
변종 조류인플루엔자 위협, 탄소배출량 정점...2025년 과학계 화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말라리아 백신 접종을 통해 발병률과 어린이 사망률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칠레
산꼭대기
에 건설 중인 베라 루빈 천문대도 올해부터 운영을 시작한다. 다른 망원경처럼 천체 하나에 집중하는 대신 전체 하늘의 변화를 기록하며 갑자기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천체 등을 정확히 찾아낼 예정이다 ... ...
중력 계산하는 일반상대성이론, 우주 규모에서도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11.25
2021년 시작된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프로젝트 연구팀은 미국 애리조나주 키트피크
산꼭대기
에 위치한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으로 구성된 망원경을 활용한다.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해 연구 데이터를 모은다. DESI 프로젝트에는 한국천문연구원(KASI)과 고등과학원, ... ...
[르포] "지하수와의 싸움이죠"…120m 지하 사용후핵연료 처분 검증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것으로 알려졌다. 처분 용기에 쓰일 수 있는 금속도 추가로 연구되고 있다. KURT는
산꼭대기
를 기준으로 지하 120m에 있다. 여기서 400m 구멍을 더 뚫어 지하 500m 환경에서 처분용기의 재료를 테스트하는 것이다. 금속 종류, 가공 방법이 서로 다른 350개의 다양한 금속 시편들을 500m 지하 환경에 집어 넣고 ... ...
주문진 국지성호우 예측한 강릉 기상레이더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기상레이더 뒤로 오대산, 황병산 등 높은 산이 많아 쏘는 파가 방해를 받을 것 같은데
산꼭대기
처럼 높은 곳에 설치해야 했던 건 아닌가"란 기자의 질문에 김 센터장은 "강릉 기상레이더는 해안에서 밀려오는 동풍으로 인한 강수현상을 관측하기 위해 특화됐기 때문에 지대가 낮아도 주요 임무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