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옮겨심기
이식
이종사촌
이질
이류
이류 혼회
이성분
뉴스
"
이종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러브버그 주제로 국민생활과학 토크라운지 온라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17
7일 밝혔다. 미래개척융합과학기술개발 사업은 융합연구 분야 과기정통부 대표 사업으로
이종
간 융합연구·기술 시너지를 통해 미래 기술·산업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유망 융합신기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AI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4개 과제가 선정된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과 ... ...
돼지 신장 이식 후 면역거부반응 치료될까…정밀 '분자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기반으로 면역거부반응을 개선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
이종
이식이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실행 가능한 솔루션이라는 점이 입증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파라오의 저주' 독성 곰팡이가 백혈병 치료제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고고학자들의 급사를 유발하는 이른바 '파라오의 저주'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곰팡
이종
에서 백혈병 치료제 후보 물질이 발견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돼 수십 년간 백혈병 치료에 사용된 물질과 비슷한 수준의 항암 효과를 보였다. 셰리 가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화학·생물분자공학과 ... ...
인간세포 섞인 심장, 돼지 몸에서 키워…'키메라 장기'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아직 기술적으로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이종
장기(다른 종의 장기)를 직접 이식하는 것보단 덜 할 수 있지만 면역 거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 동물 배아에 주입한 인간 줄기세포가 원하는 장기로 제대로 분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등이 극복해야 할 ... ...
돼지서 키우는 인간세포 유래 '키메라 장기', 장기이식 새 희망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이식‘이다. 키메라 장기는 서로 다른 두 생물종의 세포가 섞인 장기를 의미한다.
이종
장기 이식의 가장 큰 장벽은 면역 거부 반응이다. 인간의 면역세포가 돼지의 신장, 심장 등의 장기를 침입자로 인식하고 공격한다. 동물 장기를 좀 더 사람 장기와 유사해지도록 만든 것이 키메라 장기다. ... ...
소로 만든 심혈관 재건 기술, 임상서 합병증 '전무'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확인했다”고 말했다. 임홍국 교수는 “
이종
조직의 생체 적합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종
항원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연구를 단계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하는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인공조직을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동일한 ... ...
전류 흐름 자유자재로 바꾸는 '재구성형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ZrO2-x) 절연층 위에 반도체 재료인 몰리브덴 다이설파이드(MoS2)를 수직으로 쌓은
이종
접합 소자를 제작했다. 전기적 기능이 상이한 두 재료를 수직으로 적층한 간단한 소자 구조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했다. 산화지르코늄 절연층의 산소결함을 활용해 빛에 반응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데 성공해 빠른 ... ...
석상일 UNIST 교수, 독일 훔볼트상 수상…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5.08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 선구자로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이종
접합 태양전지를 처음 개발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사이언스에 1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학술정보 분석 기업인 미국 클래리베이트가 논문 피인용 수를 기준으로 선정하는 세계 상위 1% 연구자에 201 ... ...
근적외선 뿜는 '생체분자 플라빈' 최초 구현…몸 깊숙한 곳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방출하는 빛이 달라지는 모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고리 수가 많아지고 산소, 황 같은
이종
원자가 도입되면 근적외선까지 발광할 수 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체 내에서 빛을 내는 분자인 플라빈으로 근적외선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분자 구조를 미세하게 조절하면 빛과 전기신호를 ... ...
간부전 환자 위한 돼지 간
이종
이식, 첫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웨인 호손 호주 시드니대 이식외과 교수는 이번 임상시험에 대해 “수십 년간 이어져온
이종
이식 연구의 결실”이라며 “현재 인간 간 이식을 받지 못해 생존 가능성이 낮은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돼지 간이 환자의 생명을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며 자체 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