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이빙
따이빙
잠수복
뛰어들기
뉴스
"
잠수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고추장 다 떨어져…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군 생활을 시작했다. 해군특전단(네이비실) 훈련을 마치고 특수전 요원으로 배치돼
잠수
부·특수정찰·저격수 등 다양한 특수작전 자격을 취득했다. 이라크전에 파병돼 100여회의 특수작전을 수행하고 다수의 군 훈장과 표창을 받기도 했다. 이후 군의관을 꿈꾸며 뒤늦게 샌디에이고대에 진학해 ... ...
제주 해녀의 ‘폭싹 속았던’ 세월, 유전자에 남아있다
과학동아
l
2025.09.20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해군도 한국 해녀 연구에 연구비를 지원했다. 해녀들은
잠수
복이 보편화되지 않았던 시절부터 추운 겨울과 더운 여름을 가리지 않고 얇은 면으로 된 물옷에 의지해 바닷속을 누볐다. 이들이 극한 환경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었는지 알아내면 극지방이나 우주 등 ... ...
맨틀 속에서 만들어지는 다이아몬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06
폭발할 때 마그마와 함께 땅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다이아몬드 배터리는 심해
잠수
함에도 이용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수천 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 배터리 개발되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과 영국 원자력공사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탄소-14 다이아몬드 배터리를 ... ...
빗자루 타는 마법사 말벌? 2025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 본선 진출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28
태평양 해파리(Pacific sea nettle)가 몰려 있는 모습이다. 이 사진을 찍은 랄프 페이스는
잠수
복으로 덮이지 않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셀린을 발라 쏘임을 막았다. 길게 늘어진 태평양 해파리의 촉수는 통증을 유발하는 강한 자극을 준다. 페이스는 "그 고통이 쐐기풀보다는 벌에 쏘이는 느낌에 더 ... ...
15분마다 전기요금 바뀌는 핀란드…막힘없는 '에너지고속도로'를 가다
과학동아
l
2025.08.23
핀란드에는 에스토니아와 전력망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이 두 개 있었으나, 러시아가
잠수
함을 동원해 이 케이블을 끊어놨다"면서 "스웨덴으로 가는 전력망이 유일하다"고 말했다. "핀란드 내부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균등하게 분포돼 있지 않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핀란드에는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실험 아이디어를 제안하기도 했다. 최대 수심 약 2500m에 달하는 동해 울릉분지에 거대한
잠수
함 같은 중성미자 검출기를 설치하고 일본의 양성자가속기연구소(J-PARC)에서 발사될 중성미자 빔과 먼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를 모두 연구할 수 있는 '중성미자 종합연구소'를 세운다는 계획이다. ... ...
[동물do감] 더 많이 뭉칠수록 천적에 강해지는 물고기 떼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실험에서 무리 크기가 클수록 새의 공격과 같은 실제 위협에 반복적인 집단
잠수
로 적극 반응했지만 단순한 지나가는 새의 비행에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반면 작은 떼일수록 위협 여부를 잘 구분하지 못해 불필요한 반응을 더 자주 보였다. 떼의 크기가 커질수록 위협 감지의 ‘민감성’뿐 ... ...
수심 9533m 해저 생태계…빛 없이 에너지 얻는 관벌레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탐사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IDSSE/CAS 제공 연구팀은 심해 생태계를 조사하기 위해 유인
잠수
함 '펜두제(Fendouzhe)'로 태평양 북서부에서 쿠릴-카메차트카 해구와 서부 알류샨 해구 바닥을 탐사했다. 연구팀은 해구 바닥에서 관벌레라고 불리는 환형동물 시보글리니대(학명 Siboglinidae)류와 조개처럼 두 ... ...
[동물do감] 조류 타고 에너지 아끼며 먹이 찾는 '펭귄 항해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항해 전략은 단순한 에너지 절약에 그치지 않는다. 펭귄은 돌아오는 길 내내
잠수
하며 먹이를 찾기도 했다. 실제로 일부 개체는 최대 75킬로미터(㎞)의 여정을 이동하면서도 출발 지점에서 불과 300미터(m) 이내에 도착할 만큼 정확한 귀환 능력을 보였다. 연구팀은 마젤란펭귄이 어떤 방식으로 ... ...
[시민과학풀씨]① 하천과 새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6.06
부리가 특징인 민물가마우지는 위로 뜨려는 힘인 부력이 낮아 하천이나 호수에서 깊이
잠수
해 먹이를 사냥한다. 약 30m 깊이의 의암호가 서식 장소로 제격인 셈이다. 주변에는 수생 식물인 버드나무가 있었다. 정지우 개천에서 새난다 팀 연구원은 "버드나무는 새들의 은신처 역할을 한다"고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