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날개
뉴스
"
지느러미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손발, 어류
지느러미
에서 진화?…"특정기관 발달 유전자 회로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9.21
관여하는 유전자의 작동 방식이 달라졌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5DOM이 단순히
지느러미
모양을 만드는 유전자가 아니라 몸 끝부분에서 유전자들이 켜지고 꺼지는 신호를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총배설강과 손발은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둘 다 몸의 말단에 ... ...
바다 울음소리의 비밀…밍크고래
2025.09.20
“밍키”라는 애칭을 부르며 소리쳤습니다. 갑판 위로 올라갔더니 밍크고래의 하얀 가슴
지느러미
를 볼 수 있었어요. 밍크고래가 수면에서 몸을 반쯤 뒤집어 우리를 보더니 다시 물속으로 사라졌습니다. 바다로 들어가 밍크고래를 보려고 사람들은 분주히 스노클과 밧줄을 챙겼어요. 사람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다람쥐 엄지손톱에서 찾은 설치류 진화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7
다양한 형태로 진화했다. 사람의 손처럼 물건을 쥘 수 있는 도구가 되기도 하고 고래의
지느러미
처럼 평평하고 거대한 모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동안 ‘손톱’의 진화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다. 대개 손톱은 사람이나 원숭이 같은 영장류에서, 발톱은 사냥을 하거나 땅을 파는 동물에서 볼 수 ... ...
"더러워도 괜찮아"…생태계 건강 지키는 수달의 비위생적 식습관
동아사이언스
l
2025.08.15
기생성 편형동물이었다. 그 외 '미세 와편모충류(dinoflagellates)'와 물고기의 아가미, 피부,
지느러미
를 감염시키는 다른 편형동물도 있었다. 기생충은 대체로 북아메리카 수달이 먹었던 물고기와 게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대부분의 수달은 기생충 감염이 거의 없었고 건강에 특별한 해를 ... ...
고생물 ‘넥토카리디드’ 50년 정체 논란에 마침표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연구에 참여한 이미리내 극지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넥토카리디드의 신경절에서 양쪽
지느러미
줄기로 이어지는 신경 섬유까지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드문 사례다. 현재 EPMA 기반 분석 기술은 여러 해외 연구기관들이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가 개발한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더 섬세하고 다양한 역할을 갖도록 진화한 우리의 손도 좋은 예시입니다. 초기 어류의
지느러미
를 보고 누가 오늘날 온갖 정밀한 작업을 하는 인간의 손을 예상했겠어요. 제노 투르벨라 보키의 정자 분비선도 그렇습니다. 무궁무진한 항문의 가능성을 담은 원시 구조인 셈입니다. 이 연구는 아직 ... ...
"쉬는 거 아닙니다"…물속에서 호버링하는 물고기, 에너지 2배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Faucon 제공 물고기의 형태와 가슴
지느러미
의 위치도 호버링 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가슴
지느러미
가 몸 뒤쪽에 달려 있으면 일반적으로 호버링에 에너지를 더 적게 소모했다. 연구팀은 체형에 따라 빠른 속도와 호버링 효율이 반비례한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몸이 길고 얇을수록 고속 ... ...
5억년 전 눈 3개 달린 포식자 '모수라'…"게·투구게 친척"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설명했다. 모수라는 몸길이 약 6.4cm로 비교적 작다. 물속에서 날개처럼 펼쳐지는 넓은
지느러미
를 이용해 유영하며 먹이를 사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먹잇감을 포획할 때는 가시가 달린 앞발과 이빨로 덮인 원형 입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모수라가 다른 대형 포식자인 '아노말로카리스'나 ... ...
7m까지 자라는 대왕 오징어, 심해서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뉴질랜드 오클랜드공대 생물학과 교수는 15일 뉴욕타임스를 통해 “어린 남극하트
지느러미
오징어가 발견된 곳은 수심 600미터 정도”라며 “성체가 거주하는 곳은 더 깊은 바다”라고 설명했다. 새끼 오징어는 투명한 몸체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에게 잘 감지되지 않으며 이후 불투명한 색을 갖는 ... ...
전지구적 해양 생태계 지키는 고래 배설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대부분 오줌의 형태로 열대 지방에 전달되며 고래 피부나 사체, 태반도 포함된다.
지느러미
고래라는 종은 하루에 약 950리터의 오줌을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인간은 하루에 1.8리터 미만의 오줌을 배출한다. 고래가 오줌을 배출하는 장면. 고래의 배설물이 바닷속 영양분을 수천 킬로미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