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냄새감각
악취
냄새
내음
취기
낌새
후감
뉴스
"
후각
"(으)로 총 3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충과 곰팡이 찾아내는 반려견의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09
반려견 ‘포지’가 점박이등파리 알을 찾는 모습. Clark DeHart for Virginia Tech. 제공 개의
후각
은 사람보다 수만 배 이상 예민합니다. 그래서 개는 실종자나 위험 물질을 찾는 역할을 맡기도 합니다. 그런데 전문 교육을 받은 탐지견뿐만 아니라 평범한 반려견들도 짧은 기간 훈련을 받으면 해충과 ... ...
남성, 배란기 여성의 체취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여성의 얼굴을 더 매력적이고 여성스럽다고 느꼈다. 배란기 여성의 체취 성분이 남성의
후각
자극을 넘어 시각적 인상 평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배란기 여성의 체취 성분은 남성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스트레스 수치 증가도 억제했다. 카즈시게 교수는 "배란기 ... ...
AI와 그래핀 결합한 전자 혀, 짠맛·단맛·쓴맛 모두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안드레아 라바짜 이탈리아 페가소대 교수는 “진짜 미각은
후각
과 식감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된 복합적 감각"이라며 "이번 연구는 신경질환자에게 미각 경험을 복원해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평가했다. 연구진은 향후 장치를 더 소형화하고 인체 안전성을 ... ...
[과기원NOW] KAIST, 창의성 생성하는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감각 연상, 분자 구조와 향의 관계 등이다. 교육생 모집은 7월 10일까지 진행된다. DGIST
후각
융합연구센터 홈페이지(https://olfaction.dgist.ac.kr)를 통해 신청 가능하다 ... ...
"우주는 지독한 악취부터 달콤한 향까지 나는 공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수용체 기능을 하는 분자들이 포함된 수백만 개의 신경세포들이 모여 있다. 생명체는
후각
을 통해 영양분이 되는 음식, 독성이 될 수 있는 위험 요인 등을 감지한다. 인간이 우주로 활동 반경을 넓히려면 우주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는 냄새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지독한 냄새가 난다는 ... ...
[동물do감] 시력 나빠 어망도 못보는 혹등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말했다. 성체 혹등고래는 특별히 경계해야 할 포식자가 없으며 먹이를 감지할 때
후각
등 다른 감각에 의존하는 것으로 연구자들은 보고 있다. 혹등고래는 주로 고래의 노래와 청각에 의존해 의사소통을 하거나 방향을 잡는다. 쇤케 존슨 미국 듀크대 생물학과 교수는 “고래의 거대한 눈이 ... ...
[과기원NOW] KAIST, 자석으로 전류없이 정보 전달 '마그논 비가환 이론'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한국에서 유일하게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정다혜 학생은 알츠하이머병 초기 징후를
후각
에서 포착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해 주목받았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GIST 기술경영아카데(GTMBA) 총동문 골프동호회와 지스트발전재단 이사장이 각각 500만 원씩 총 1000만 원의 발전기금을 ... ...
꿀벌 날갯짓 소리에 반응하는 꽃, 꿀 생산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수분 매개자를 유인하기 위해 진화한 사례로 꽃잎의 색이나 꽃향기 등 주로 시각적·
후각
적 신호가 주로 연구됐다. 수분 매개자들이 꽃에 접근할 때 내는 다양한 소리가 식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꽃식물인 금어초(학명 Antirrhinum litigiousum) 근처에 녹음기를 설치해 ... ...
9가지 향기 95% 이상 정확도로 구분하는 전자코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학습해 향기를 인식하고 분류했다. 연구팀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고성능 인공
후각
플랫폼을 구현한 것이다. 특히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얇은 탄소 재료(그래핀)를 가공하고 산화세륨이라는 나노 촉매 물질을 도입해 향기에 민감한 센서를 만들었다. 센서를 만드는 과정은 복잡한 ... ...
만지는 것과 만져지는 것, 뇌는 다르게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능동적 촉각이다. 외부 자극이 쥐의 수염을 건드렸을 땐 수동적 촉각이다. 연구팀은
후각
을 제외한 모든 감각을 처리하는 뇌 영역인 ‘시상’에 초점을 맞춰 쥐의 수염 촉각과 뇌 신경 활동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폈다. 연구팀은 쥐의 수동적 촉각을 일으키기 위해 수염에 공기를 불어 넣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