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내
내륙
오지
내국
스페셜
"
내지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성과이지만 중국의 엄청난 연구 인력과 인프라, 예산이 없었다면 시도할 엄두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 만 1000년 전부터 작물 벼 재배 지난달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한 논문도 중국 과학의 힘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24 네이처 인덱스에서 최고 연구기관으로 뽑힌 중국과학원 산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4대 과학기술원처럼 연구 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대학에서는 오히려 MDPI에 논문을
내지
않았다고 한다. ● 세계 최대 오픈액세스 출판기업의 빛과 그림자 1996년 스위스 바젤에서 'Molecular Diversity Preservation Internation'라는 화학물질시료아카이브를 관리하는 비영리기관으로 문을 연 MDPI는 2010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처음 전기차를 출시한 이래 사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았지만 값이 너무 비싸 엄두를
내지
못했다. 지금은 좀 내렸지만 그래도 필자 형편에는 여전히 무리다. 그런데 기사에 놀라운 얘기가 실린 것이다. 중국의 전기차 업체들이 올해 안에 1만 달러(약 1300만 원) 내외의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라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대한 두려움이 클수록 잘 보이려고 많은 애를 쓰지만 그만큼 그 행동이 좋은 결과를
내지
않을 것에 대한 ‘걱정’과 ‘망설임’이 크기 때문이다. 속으로만 치열하게 고민할뿐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남들보다 많은 에너지를 쓰는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노력이 과한만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플레밍의 기대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 지속시간도 짧았고 유효성분도 순수하게 분리해
내지
못했으므로 플레밍은 연구를 중단하고 말았다. 플레밍은 1929년 5월에 “곰팡이로부터 얻은 물질의 항균력이 우수하기는 하나 생체내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후 연구를 중단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이 성과를
내지
못한다는 억지
2023.11.08
했다. ‘월드클래스’의 대학‧연구원을 만들겠다는 정책도 있었다. 물론 아무 성과도
내지
못한 엉터리 정책이었다. 심지어 노밸상 수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원’도 만들었고 이제는 정체도 불확실한 ‘글로컬’(Glocal) 대학이다. 유전자 가위 분야에서 세계 선두를 달리던 과학자를 어설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14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만일 오펜하이머가 반수소 프로젝트를 맡았더라도 거뜬히 해
내지
않았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지 경고하는 것만으로는 건강을 지키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한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에 있어서도 경고만 하기 보다는 작지만 효과적인 행동들을 널리 알리고 작은 변화도 여럿이 모이면 큰 물결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퍼트릴 필요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없는 것으로 알려진 감미료다. 우리의 소화기관에서 흡수되어 생존에 필요한 열량을
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아스파탐이 ‘다이어트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아스파탐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개발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아스파탐이 몸속에서 분해되어 페닐알라닌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이은 호참보(Donatien-Marie-Joseph de Vimeur, vicomte de Rochambeau)는 계속되는 황열의 피해를 이겨
내지
못한 채 1803년 11월에 항복하고 말았다. 이미 루이지애나를 미국에 넘긴 상황에서 아이티에서도 반란을 막지 못했으니 프랑스는 아메리카에서의 식민통치를 접고 철수하기로 했다. 프랑스로 돌아온 이는 약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