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명
억울한 죄
불명예
스페셜
"
누명
"(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서둘러 바로잡아야 한다. 과학자와 의사에게 뒤집어씌운 '떼도독'(카르텔)과 '악당'의
누명
을 벗겨줘야 한다는 뜻이다. 한 시도 미룰 수 없는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다. 풀이 죽어버린 과학자의 기(氣)를 다시 살려줘야 한다. 의대생도 학교로 돌려보내야 하고 전공의도 수련을 계속해야만 한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빛바랜 '스승의 날'의 우울한 풍경
2025.05.21
누구나 잠재적 '아동학대범'이다. 의심스럽다는 신고만으로도 직위가 해제되고 치욕적인
누명
·오명을 벗기 위한 노력과 비용은 온전하게 교사의 몫이다. 법조계의 부정청탁과 금품수수의 비리에서 시작된 2016년 9월부터 시작된 '김영란법'도 교직 사회를 강타했다. 강의 시간에 학생에게 캔 커피를 ... ...
의협 "정부·지자체 코로나 확산 의료계 책임 전가는 적반하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책임을 전가하고 면피하려 드는 광경이 마치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의병장에게
누명
을 씌우던 썩은 관리들을 연상케 한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정부의 전문가 단체 무시와 장관의 잇단 실언으로 의료계는 정부에 대한 기대를 버린지 오래”라며 “자리를 지켜온 이유는 오로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이 잃어버린 자리를 되찾아야 한다
2020.03.04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중국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판데믹(대유행)을 촉발시켰다는 억울한
누명
을 뒤집어쓸 수도 있는 황당한 상황이다. 우리의 감염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중국으로부터의 여행객이 저절로 줄어버렸다. 중국의 어려움을 안타까워하던 정부가 머쓱해졌다. 물론 이웃을 걱정하는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연구가 잇달아 발표됐다. 포화지방은 오랜
누명
을 벗었는지도 모른다.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선조는 아마 최소한 20%의 열량을 지방을 통해 섭취한 것으로 보인다. 더 먹었다는 주장도 있다. 저탄고지 다이어트는 정확하게 말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비만과 대사질환의 주범으로 인식되어온 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은 최근 이처럼
누명
을 벗고 있다. 대신 탄수화물, 특히 당류(설탕과 과당)가 최근 수년 사이 진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미국 농무부의 권장식단 변천사를 압축한 도표들이다. 왼쪽은 1946년 만든 ‘기본 7’로 4, 5, 7이 지방이 풍부한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탄산음료 규제 문제로 업계와 긴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이런 와중에 오랫동안 주범으로
누명
을 쓴 지방(특히 동물성)이 최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레인 브레인’이 대표적인 책으로 각운을 살린 원서의 제목(Grain Brain)은 곡물이 현대인의 뇌건강을 망치고 있다는 뜻이다. 신경과 전문의이자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