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덩어리
다발
꾸러미
덩이
묶음
보따리
솜뭉치
스페셜
"
뭉치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단순화’ 전략을 선택해 왔다. 엉켜있는 실타래를 풀어낼 때 한 가닥 실마리를 실
뭉치
에서 조심스럽게 분리해 나가면 실들이 어떻게 얽혀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복잡한 인체의 신비를 풀기 위해서는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문제들부터 풀어야 한다. 단순한 문제들의 해답들을 모아 더욱 복잡한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있게 소개하는 기술은 싱글셀 분석 기술이다. 싱글셀은 세포나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의
뭉치
를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단일 세포 유전자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단일 세포 유전자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례로 암세포는 면역세포인 T세포와 붙어 있는데 이들은 아주 밀접하게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장 훤히 보이는 유리개구리의 은신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간에 응집해 보관하는 과정에서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적혈구가
뭉치
면 혈전이 생기는데 유리개구리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떤 기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쇤케 욘센 듀크대 생물학과 교수는 "유리개구리가 몸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적혈구를 간에 숨겨두고 활동할 ... ...
[일문일답] 누리호 점검 시작 "오늘 점검 끝나면 예비발사일 전 준비 가능 여부 알릴 수 있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17
오후 3시경 시작됐다. 기술진들이 레벨 센서 자체 문제 혹은 레벨 센서를 연결하는 전선
뭉치
(하네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터미널 박스 등을 점검하는 가운데 만일 센서 점검과 교체를 위해 1단과 2단을 분리해야 할 경우 발사 예정일인 23일까지 발사가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고정환 ... ...
하얀입자 발견된 독감백신 61만 5000개 회수…식약처 "안전성 문제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따르면 백색 입자는 백신의 구성 성분과 주사기 제조방법 등의 차이로 달라붙거나
뭉치
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유통 중에 물리적인 영향으로 시간이 지나면 이 입자가 커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 자문에 참여한 최원석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브리핑에서 “8일 저녁에 전문가 10명이 화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그런데 인의 표면에는 지질막이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인의 형태가 생체고분자가 실
뭉치
처럼 서로 얽혀 단단한 구조를 이룬 결과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밖에도 세포질이나 핵질(nucleoplasm. 핵 내 액체)에 막이 없는 다양한 구조물이 존재했고 다들 이런 식으로 형태를 유지한다고 믿었다. ... ...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도체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부른다. 질화붕소는 유전율이 3.4 정도인 절연체다. 2차원 소재는 종이를 구기듯
뭉치
면 원자가 무작위로 배열되는 비정질 특성이 나타난다. 비정질 질화붕소(a-BN)는 기존 질화붕소(h-BN)에 비해 훨씬 낮은 유전율을 보여준다.(왼쪽 위 그림) 밀도(오른쪽 위 그래프)와 유전율(왼쪽 아래 그래프)에서도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뜻한다. 이 구조는 사촌격인 사스 바이러스와 비슷하다. 연구팀은 아미노산 섬유가 실
뭉치
처럼 말려 있는 형태인 단백질의 1차 구조인 아미노산에선 3개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발견했다. 이 중 하나가 위로 고개를 든 형태를 가져 ACE2에 더 쉽게 달라붙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
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촬영한 아로코스의 모습이다. 두 개의 소행성이 합쳐진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NASA 제공 인류가 가장 먼 곳에서 탐사에 성공한 태양계 외곽 천체인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가 두 소행성이 부드럽게 뭉쳐서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전극 제조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DB 대표적 전도성 고분자인 PEDOT:PSS에서 이 현상이 발견됐다. 고분자는 긴 가닥이 실
뭉치
처럼 뭉친 형태로 PEDOT:PSS는 전기가 잘 통하는 PEDOT을 PSS가 피복처럼 둘러싼 형태로 긴 가닥이 만들어진다. 이 물질의 전도도를 올리려면 PEDOT이 최대한 노출돼 서로 연결되도록 만들면 된다. 기존의 화학적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