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잔인"(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과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2025.03.29
- 어쩌면 이는 착각이고 부정적인 사건 자체보다 추락한 나를 대하는 나의 태도가 차갑고 잔인했던 것이 진짜 문제였을지도 모르겠다. Haehner, P., Driver, C. C., Hopwood, C. J., Luhmann, M., Fliedner, K., & Bleidorn, W. (2025). The dynamics of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across days, months, and yea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번째는 해로움을 강조하는 것이다. 육식이나 임신중절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자극적이고 잔인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한 가지 예다. 앞서 이야기한대로 다양한 이슈에서 XX를 허용하면 학교와 가정이 무너지고 나아가 나라와 사회가 무너진다며 해로움을 강조하는 것도 흔히 나타난다. 연구 결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했고, 1949년 안토니우 모니스의 전두엽 절제술처럼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잔인한 시술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 연구·개발(R&D) 제도 혁신방안과 '2024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결과를 발표하고 ... ...
- 정재승 KAIST 교수 "우크라 어린이들 전쟁 트라우마로 상처받을 것"동아사이언스 l2022.04.25
- 위해 기부하기도 했다. 정 교수는 “사랑하는 가족이나 이웃을 잃거나, 전쟁의 잔인하고 참혹한 경험들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와 혐오를 불러올 수 있으며 어른으로 성장한 후에도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몇 해 전 내전과 킬링필드를 경험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내 편을 얻는 순간 상대를 해치는 죄책감에서 간단히 벗어난다2022.03.12
- 선과 악, 도덕 규칙을 손쉽게 정의하는 것의 문제점은 나쁜 편으로 규정된 대상을 향해 잔인한 행동도 죄책감이나 거리낌 없이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문제 파악부터 틀렸는데도 자신들만의 정의를 칼처럼 휘두르며 아무나 쉽게 단죄할 수 있게 된다. 사회적 동물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2022.02.20
- 가학성이 높고 잔인한 사람들은 타인이 입은 피해를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누군가를 상처주고서는 “장난쳤을뿐인데 예민하게 군다”며 타인의 아픔을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것이한 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2021.09.09
- 실험실에서 일했던 데이비드 스케일스 코넬대 웨일 의대 교수는 2021년 2월 “우리의 잔인한 과학연구 체계는 어떻게 mRNA 백신의 선구자를 죽일뻔 했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카리코 박사의 기술로 만들어진 백신을 접종한 후 스케일스가 쓴 이 글에는 카리코 박사라는 과학계의 흙수저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력으로 공정하게 과학자를 평가할 수 있을까2021.01.28
- 인류가 오랫동안 묵인해온 불평등의 산실이다. 그리고 과학계처럼 여성차별의 역사에서 잔인했던 분야도 많지 않다. 마틸다의 유리천장은 여전히 공고하며, 특히 이번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해야했던 여성과학자들이 받은 피해는 남성과학자들보다 심하다. 소수자 차별과 인종차별 또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보노보보다 관대하고 침팬지보다 사악한 '인간'2021.01.19
- 붙잡혀온 사람들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우리 대다수는 성품이 온화하고, 폭력적이거나 잔인한 사람들은 예외적인 존재들일까. 시야를 넓히면 꼭 그렇지는 않다. 역사적으로는 말할 것도 없고 지금도 지구촌 곳곳에서는 국지전이나 내전으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되고 있다. 우리나라만 해도 70년 전 ...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동아사이언스 l2021.01.04
- 알렌 교수는 전쟁 포로로 일본에 잡혀있을 때 일본군 병사들이 포로를 동물처럼 잔인하게 대하는 것을 목격했다. 이후 동물권에 관심을 갖게 돼 도축 없이 고기를 만드는 연구를 이어 왔다. 지난 2008년 당시 87세이던 반 앨런 교수 주도로 네덜란드 정부는 배양육 지원금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