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회전과 평행이동, 수평과 수직 변환을 조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한 발로 뜀뛰기를 할 때 생기는 걸음걸이(한 발 뛰기)는 평행이동을 하면 서로 겹쳐진다. 그런데 치타가 뛰면서 만드는 발자국도 평행이동으로 겹칠 수 있다. 즉, 사람과 치타는 발자국 모양이 다르지만, 평행이동으로 겹칠 수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두 발로 뛰고, 돌면서 뛰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5호
- 자신을 보호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우리가 지금까지 캥거루를 만나볼 수 있는 건 바로 ‘뜀뛰기’ 덕분이 아닐까요? 비밀2. 꼬리가 다섯 번째 다리! 캥거루는 보통 두 다리를 모아 총총 뛰지만, 조심스럽게 걸을 때도 있어요. 캥거루가 걷는 모습을 유심히 관찰해보면, 마치 목발처럼 꼬리로 ...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대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로 유대류의 독특한 뜀뛰기 능력의 기원은 약 20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게 됐다. 논문의 제1저자인 웬디 덴 보어 스웨덴자연사박물관 고생물학과 연구원은 “정밀한 모델링 기법으로 고대 유대류의 세부 능력과 진화 과정을 밝혀 갈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자국만으로 공룡의 크기(골반까지의 높이), 몸통 길이, 몸무게, 걸음걸이(걷기, 뛰기, 뜀뛰기), 이동 속도, 무리 행동, 생물다양성(생태계), 발바닥 피부 모양 등을 알 수 있다. 필자의 연구팀은 발자국 길이를 통해 이 발자국의 주인공이 참새 크기의 랩터 공룡이라는 점을 알아냈다. 대부분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