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한량
무한
무량무변
뉴스
인공방광 수술로 방광 위치 달라진 산모, 건강한 아기 출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인공방광 수술로 일상생활로 복귀했고 6년이 지난 지금 한 아이의 엄마가 되어 감개가
무량
하다"라며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소아청소년과 협업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 ...
”한국서 의대 쏠림 안타까워...도전하는 의사과학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7.06
느껴왔다”며 “협업은 단체 후원 등이 있어야 가능한데 이런 기회가 생겨 감개가
무량
하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시대는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기술의 주인이 많은 것을 좌지우지하는 시대”라며 “이러한 시대에 생존하려면 팀으로 일해야 한다. 국내 과학자들과 해외 한인 과학자들이 ... ...
[인터뷰]“참여자도, 대조 백신도 구하기 어려웠던 국산 코로나 백신 임상, 험난했죠”
동아사이언스
l
2022.07.01
“임상시험에 참여한 많은 연구자들과 참여자들의 노력과 열정이 결실을 맺어 감개
무량
하다는 말밖에 할 말이 없다"고 했다. 정 교수는 “백신이 개발되려면 보통 8~9년의 시간이 필요한데 스카이코비원은 그 절반도 채 되지 않은 기간에 개발을 마쳤다”며 “쉽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정부와 ... ...
"우리 손으로 만든 우주발사체, 우리 발사대에서 세우는 꿈 이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기립을 했지만 실제로 누리호 QM을 발사대에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굉장히 감개가
무량
하다. 실제 발사체를 세워본 게 2013년 1월 나로호 3차 발사 때가 마지막이었다. 그로부터 8년 조금 지나서 우리 손으로 만든 기체를 발사대에 세우게 됐다. 우리가 설계해서 만들고 시험해 온 모든 것들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0845보다 크다. 현재 우리가 나타낼 수 있는 가장 큰 수의 단위는 1068인
무량
대수이므로 천
무량
대수인 1071자리까지 수를 읽을 수 있다. 따라서 바둑에서 나오는 가짓수 361!은 우리의 단위로는 도저히 읽을 수 없는 수이다. 수학에서 361!과 같이 계승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순열이다. 순열은 서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양을 알아냈다. 그 결과 광자의 총합은 약 4×1084개로, 동양에서 가장 큰 숫자단위인
무량
대수(1068)보다도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현재 우리 은하에서만 매년 약 7개의 새로운 별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아젤로 교수는 “별빛의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1 뒤에 0이 64개 붙어있는 수는 ‘불가사의’, 68개 붙어있는 수는 ‘
무량
대수’, 그리고
무량
대수보다 0이 32개 더 많은 10100을 구골이라고 해요. 이 거대한 숫자에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 명언의 주인공 에드워드 카스너입니다.카스너는 위대한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의 제자로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항하사는 인도 갠지스 강의 모래라는 뜻으로, 셀 수 없이 무수히 많은 양을 뜻한다.
무량
수는 극락세계에 사는 백성의 수명은 헤아릴 수 없이 길다는 뜻에서 유래했다.찰나는 10-88을 뜻하는 수조선시대에 작은 수는 어떻게 불렀을까? 현재는 소수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은 수의 명칭을 거의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전해지기도 했다. 큰 수와 작은 수의 이름에서 인도의 영향을 찾을 수 있다. ${10}^{128}$은
무량
수라고 불리는데, 이는 인도의 불경에서 유래한 이름이다.하지만 인도 수학은 계속 발전하지 못했다.엄격한 신분제도로 인해 승려나 왕족만이 수학을 연구할 수 있어 발전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큰 수에 대하여
기사
l
20250413
0 구 .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무량
수하지만 훨씬 더큰 수가 있다. 10,000,000,000,000,000,000,000,0 ...
블랙홀의 수명과 원리는 무엇일까?
기사
l
20250331
하겠습니다! 먼저 블랙홀의 수명을 알아볼텐대요! 먼저 블랙홀 블랙홀의 수명은.... 바로 10의 백승 정도라고 합니다! 이 수는
무량
대수보다 큰 숫자라고 하는데요!! 너무나도 놀랍지 않나요? 또 이 블랙홀의 질량(우주 천체들의 수명이라 보면 됩니다)은 태양보다 훨씬 많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블랙홀의 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랙 ...
블랙홀의 수명과 원리는 무엇일까?
기사
l
20250326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블랙홀의 수명을 알아볼텐대요! 먼저 블랙홀 블랙홀의 수명은.... 바로 10의 백승 정도라고 합니다! 이 수는
무량
대수보다 큰 숫자라고 하는데요!! 너무나도 놀랍지 않나요? 또 이 블랙홀의 질량(우주 천체들의 수명이라 보면 됩니다)은 태양보다 훨씬 많다고 합니다!! 그럼 이번에는 블랙홀의 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 안에 있는 만화에 대한 열망이 끓어올라요...
포스팅
l
20241013
영역전개
무량
공처를 외치면서 고죠 사토루 포즈 취하고 싶어요!!!!! 으아아ㅏ아아아ㅏ악 ...
동아시아 과거의 큰 수
기사
l
20240119
그 다음에 불교에서 큰수의 계념이 들어와 원나라의 주세걸이라는 사람이 산학계몽(算學啓蒙)이라는 책에 극(10의 48제곱)부터
무량
대수(10의 68제곱)까지 기록했다고 해요. 그리고 나머지(겁, (10의 72제곱). 천훈공 (10의 79제곱)등등)숫자들은 화엄경에서 부처의 깨달음을 설하기 위해 큰 수들을 열거했는데 그것들이 한자의 큰 수의 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