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로
뱃길
선로
도랑
개천
도량
뉴스
대형산불로 취약해진 산사태, 위험도 예측해 대피시간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2차원 토석류 모델도 개발됐다. 토석류는 산사태로 쓸려온 커다란 바위 등이 빠른 속도로
물길
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으로 인명·재산 피해를 키우는 원인이다. 산림지역 지형 특성까지 반영한 결과 토석류로 인한 위험반경의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 재난 대응에 유용한 ... ...
[동물do감] 생태계 살리는 비버, 산란기 송어에겐 '빌런'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최근 몇 년간 비버를 다시 도입했다. 비버는 나뭇가지, 흙, 돌 들을 이용해 댐을 만들어
물길
을 막는다. 이는 새로운 연못과 습지를 만들어 수생식물이 자라게 하고 다양한 동물의 서식을 도와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비버가 만든 댐은 물의 흐름이 차단되고 ... ...
"빙붕 깨지는 굉음에 놀란적 한두번 아냐"…장보고기지가 겪는 남극 고온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많이 녹아 무릎까지 오는 높이의
물길
이 생겨 바다로 들어가고 있었다. 김 대원은 "
물길
은 경쾌하게 콸콸거리는 소리가 날 정도로 크다"라면서 "산에 쌓인 눈이 다 녹을까봐 걱정될 정도로 따뜻하다"라고 말했다. ● 남극 기온 상승이 전지구 기온 상승 유발 극지연구소는 장보고기지의 ... ...
협의체 공중분해에도 "의대 정원 못 바꿔"…근무중 의사 '집단 린치'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협의체 참여 의사를 밝히며 의정 갈등의 해결
물길
이 열릴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결국 4차 회의를 끝으로 휴지기에 들어가게 됐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둔 의료계와 정부 간 첨예한 갈등이 협의체 좌초의 가장 큰 원인이다. 의료계는 수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태백 구문소에는 고생대 기후의 흔적이 남아있다
2022.06.25
하천이 만나는 곳에 있습니다. 황지천의 강한
물길
이 절벽을 강하게 침식했고, 그 결과
물길
이 절벽을 뚫으면서 멋진 통로가 생겼습니다. 산을 뚫은 모양의 연못인 구문소입니다. 그런데 구문소 바로 왼쪽에는 동굴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 일본인들이 석탄을 운반하기 위해 사람과 ... ...
[프리미엄 리포트] 인간 영향으로 한강의 미래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7.03
제공 강은 끊임없이 변한다. 범람과 물 빠짐을 반복하며 새로운 퇴적지가 생기고, 작은
물길
이 새로운 지류로 탄생한다. 이전에 없던 생태계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런 변화는 대개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이상의 지난한 시간에 걸쳐 일어난다. 그런데 최근 훨씬 짧은 기간인 수십 년, 심지어 수년 ... ...
세계의 얼음이 기록적으로 녹고 있다
2021.01.26
이 중 50%는 그린란드와 남극에서 발생한 손실이었다. 사진은 그린란드 빙하가 녹은
물길
이다. 그린란드 빙하는 영구동토층이 드러나는 등 이미 심각하게 녹고있다고 보고돼왔다. 리즈대 제공 기후 온난화로 북극과 남극뿐 아니라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얼음이 빠르게 녹고 있으며 속도도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오래된 바위와 돌들의 흔적을 더듬어 복원에 필요한 지도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물길
복원을 통해 찬 물에 사는 송어 등이 다시 돌아왔고 생태계 복원이 진행중이다. 테로 무스테넨 박사는 “인류의 생존과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원주민들의 지혜에 도움을 구해야 할 것”이라며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땅을 뚫어 물을 흐르게 해 배들이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물길
이에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파나마 운하가 대표적이지요. 그런데 작년부터 비가 오지 않아 배들이 파나마 운하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73년 만에 가장 건조했던 파나마 2023년 초부터 파나마에는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고 ... ...
배가 산으로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엘리베이터 한 번에 물 2억L? 운하는 보통 가로막고 있는 땅을 모두 파내고 서로 떨어진
물길
을 잇는 방식으로 만들어져요. 하지만 파나마는 가운데가 산맥으로 막혀 있어 이를 뚫고 평평한 운하를 파기가 힘들었습니다. 이 때문에 파나마는 산 중턱에 있는 강을 막아 호수로 만들고 중간중간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석회암에 찍힌 네모난 자국의 정체는? 태백 구문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하천이 만나는 곳에 있습니다. 황지천의 강한
물길
이 절벽을 강하게 침식했고, 그 결과
물길
이 절벽을 뚫으면서 멋진 통로가 생겼습니다. 산을 뚫은 모양의 연못인 구문소가 탄생한 거죠. 그런데 구문소 바로 왼쪽에는 동굴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37년, 일본인들이 석탄을 운반하기 위해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과거에 물이 흐르던 길을 사람이 인위적으로 막고, 바꾸면서 생긴 것”이라며 “과거
물길
지도를 살펴보면 현재 침수에 취약한 지역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이렇게 다양한 지도가 있었는데 왜 전 몰랐을까요? 알았다면 피해서 집을 구했을 텐데….”위험한 지역이 어딘지 알려주는 지도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좀비가 된 연어를 아시나요?
기사
l
20230724
이번에는 좀비 연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어는 산란기가 되면 강을 거슬러 올라가 바다에서 알을 낳습니다. 그렇게 되면
물길
을 역으로 타고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많은 고난을 겪게 되기 때문에 자신의 통각을 차단하고 면역 체계를 망가뜨립니다. 이렇게 통각이 차단된 연어들은 비늘이 떨어지고 지느러미가 뜯기고 눈이 멀고 뭄이 반쪽나도 계속해서 ...
용용이나르샤 - 221122 - 1
탐사기록
l
20221122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계곡산개구리인것 같은데, 비오는 날 계단에서 발견했어요. 주변에 산은 있고
물길
은 멀리 있는데 건물들 사이까지 왔어요. ...
탐사기록
l
20220504
이 피라미 B타입은 한반도와 중국대륙, 일본 열도가 연결되었던 과거에도 고립되어서 독자적으로 진화 했다는 뜻이지요.그러다가
물길
이 바꼈다던지 어떠한 지리적 변동으로 인해 피라미 B형 과 R형이 낙동강에서 만나게 되었고 지금까지 오게 된것이지요.아직 피라미에 대해 진행된 연구가 없기에 정확하게 말씀드리긴 힘들지만 지리적 현상으로 인해 서로 다르게 ...
탐사기록
l
20220427
위치: 경남 함양군 서상면 도천리 옥당교 약 50m 하류 수온: 15도 주변환경: 하천 옆으로 제방이 쌓여있고 다리 상류와 하천을 두고 하류방향으로 바라보았을때 오른쪽 수변부가 공사로 인해 흑탕물이 계속 유입되고 있 ... 휴식하거나 숨기 좋은 환경. 탁도: 하천 아래를 바라본 기준으로 오른쪽
물길
은 흑탕물이여서 커피색으로 바닥이 보이지 않고 ...
현현이네 - 220416 - 7
탐사기록
l
20220416
물길
따라서 상류까지 올라가 봤는데 버들치가 없으면 알이 쌓여있고 버들치가 많은대는 알이 없어요.원래 알이 늘있던데에도 버들치만 바글바글...알주변에 개구리도 많았는데 개구리앙도 없네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