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놀러 갈 준비 4. 우주인 되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6호
- 우주 정거장에서 찍은 ‘셀프 카메라’ 사진이에요. 버즈 올드린의 뒤로 파란색 지구가 선명하게 보여요. 2. 쌍둥이 우주인NASA는 일란성 쌍둥이 중 한 명은 지구에서, 한 명은 우주에서 1년 동안 살게 하여 몸 상태가 얼마나 달라지는지 확인했어요.스콧 켈리(왼쪽)는 우주에서, 마크 켈리(오른쪽)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화소, 알룰로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모니터, TV 화면 모두 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화소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더 선명하고 생생한 표현을 할 수 있지요. 각 화소는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이 조합돼 다양한 색이 만들어집니다. 빨강, 초록, 파랑이 모두 켜져 있으면 흰색이 되고, 반대로 모두 꺼져 있으면 검정색이 돼요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천문학자] 밤하늘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은하수가 보이는데, 여긴 가로등이 근처에 있었는데도 하늘을 보자마자 은하수가 선명하게 제 눈앞에 펼쳐졌어요. 수많은 별 중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별자리를 만들어 냈을까요? 학교에서 점선 잇기 놀이를 해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점선 잇기 놀이에 쓰이는 종이에는 여러 점이 찍혀 있고, 점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대기에 태양풍 입자들이 쏟아져 들어와요. 연구자들은 올해 어느 때보다도 강렬하고 선명한 오로라를 더 자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답니다.통합과학 넓히기 │ 오로라와 비슷한데 오로라가 아니다? 2015년, 캐나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모임인 ‘앨버타 오로라 추적자’는 소셜 미디어에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개쩌는 그간 상황 정리포스팅 l20250811
- 은반 아님) 어느. 찬란하고 선명하던 여름밤, 당사자인 '그'가 나타났다. 분탕을 일으켰다. 모두가 화가 났다. 우리는 그를 절대 잊을수 없을것일것이다. 그는 소위 애매한 분탕을 일으켜서 공개저격을 당했다. 그 사건이 커져선 이제 굿컴과 관리자의 문제가 되었다. 뉴비들이 무례한 이유는 굿컴을 안읽어서 라고 믿으며. 하지만 난 다르게 생각한다.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인공위성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그중 하나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입니다.이 위성은 180kg급 소형위성으로, 구름이 껴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전파 영상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국내 우주 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검증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원들은 이 위성이 실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날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또한, 여러 대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부분은 태양 전지판, 주황색으로 긴 것은 지구와 통신을 하는 안테나인데요, 이 차세대 소형위성의 특징은 구름이 껴 있어도 사진을 선명하게 찍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180kg급 소형위성으로서 국내 우주 핵심 기술의 우주 검증으로 소형위성의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언젠가 제가 직접 만든 소형 위성이 우주에 떠다닌다면 느낌이 어떨까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판같은 부분이 안테나 입니다.이 차세대소형위성 2호가 찍은 사진은 전파 사진이기 때문에 흑백이지만 구름을 뚫고 찍을 수 있고, 선명합니다. 출처: KAIST 인공위성 연구소 홈페이지 2번째로 최근에 날린 위성은 초소형군집위성 NEON SAT 입니다. NEON SAT은 사진을 찍는 위성으로 한 궤도에 같은 위성이 여러 개 떠 있습니다. 출처: 과 ...
- 여름의 대표적인 과일. 수박!기사 l20250715
- 작으면 더 당도가 높은 수박입니다. 둘째, 줄무늬가 선명할수록 맛있습니다. 왜냐하면 줄무늬는 태양빛을 받아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 선명할수록 더 잘 익었다는 증거입니다. 샛째, 노란 반점이 있는 수박을 골라야 합니다. 여기까지입니다. 봐주셨다면 감사합니다.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