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한 밝음
광휘
빛남
짙음
농후함
강렬함
명확
스페셜
"
선명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2025년 AI연구용 컴퓨팅지원사업 사업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주는 것으로 지난해 3월 도입됐다. 레티널은 렌즈 내부에 투명 반사부를 매립해 밝고
선명
하며 경량화한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를 구현했다. 인이지는 AI 예측 근거와 과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 산업 공정 최적화, 설비고장 예측 등에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악어의 머리비늘 돋아난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5.01.11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나일악어의 머리와 턱에는 악어 특유의 패턴을 가진 비늘이
선명
하게 돋아나 있다. 일반적으로 비늘, 털, 깃털과 같은 척추동물의 피부 부속물은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발달한다. 하지만 악어 머리 비늘은 예외다. 유전자 조절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분석 결과 짝짓기 상대로 붉은색 날개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
한 붉은 날개를 가진 상대를 발견했을 때 동일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선호하는 사이드노는 구애 행동을 할 때 이 나비들과 달리 '레구칼신1(regucalcin1)'이란 유전자가 더 높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당근이 몸, 특히 눈에 좋은 채소로 널리 알려졌다. 그 결과 사람들이 주황색이 더 짙고
선명
한 당근을 찾으며 이런 방향으로 개량이 이뤄졌고 지난 60년 사이 카로틴 함량이 두 배나 늘어났다. 당근의 정체성이라고 알고 있었던 짙은 주황색 뿌리가 당근의 입장에서는 길어야 500년 전부터 지니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선정되었다. 뢴트겐이 발견한 X선은 신비스럽게 손을 뚫고 나와 유리판에 뼈의 모양만
선명
하게 비춰 주었다. 또 인체 내부를 볼 수 있는 용도 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이 알려졌지만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X선을 이용하여 어떻게 사진을 찍는지 시범을 보이던 ... ...
[표지로 읽는 과학] AI로 밤에도 낮처럼 물체 인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9
사람의 눈과 마찬가지로, 기계 역시 빛 없이 깜깜한 밤에는 사물의 모습을 낮처럼
선명
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열 보조 감지 및 범위 측정(heat-assisted detection and ranging·HADAR)' 시스템은 야간에도 대낮처럼 대상의 질감과 깊이를 감지한다. 기존 주변환경 탐지용 기계의 카메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수가 말라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1
모습을 위성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표지에 실었다. 표지 제목에는 줄어드는 호수라는
선명
한 문구와 함께 ‘전세계 대규모 호수의 전세계 물 저장량이 줄어들고 있다’는 경고를 함께 게재했다. 최근 30년 동안 세계에서 가장 큰 호수의 절반 이상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표지에 게재한 호수는 ... ...
[오늘과학] 정신건강 안좋으면 타인 얼굴 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이미지는 흐릿하게 처리됐고 참가자들이 움직이는 마우스 커서에 따라 20픽셀 반경만
선명
하게 보이도록 했다. 모든 이미지는 일정한 크기의 사람 얼굴을 담고 있었으며 이 중 절반은 사람의 시선이 정면을 바라보지 않고 있었다. 분석 결과 외향성, 쾌활함, 개방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 ...
[과기원은 지금]UNIST, 왜곡된 영상
선명
하게 복원하는 방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 있는 정보를 이용해
선명
하게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자율주행차를 위한 고품질 영상이나 생체조직 내부의 고해상도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에 1일 ... ...
[과기원은 지금] 이상훈 DGIST 교수팀 전자약용 신경자극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렌즈는
선명
한 영상을 구현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렌즈를 대신할 빛나는 섬유를 개발해
선명
한 영상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에 공개됐다. ■박찬영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25일 데이터의 레이블이 없는 상황에서도 높은 예측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