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인기검색어
창의적인
전기
실험
로봇
동물
수학
세트
뉴스
생존율 결정짓는 '작은 유전자 조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지난 13일 온라인 게재됐다. doi.org/10.1038/s41467-025-59685-3 (왼쪽부터)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장, 김서영 박사후연구원, 신재진 선임연구원, 강무원 박사후연구원. IBS 제공. ... ...
배터리 소재 '리튬', 자폐증 치료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연구가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doi.org/10.1038/s41380-024-02865-2 (왼쪽부터)
김은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 노준엽 선임연구원, 배미현 연구위원. IBS 제공.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⑥ "장기 연구하려면 육아휴직 꼭 써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IBS 규정에 따라 박사후연구원으로 육아휴직을 쓸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김 연구원은
김은준
시냅스뇌질환연구단장을 찾았다. "단장님께 아내가 최근 많이 힘들어한다는 이야기를 조심스레 꺼냈어요. 아내가 사회생활을 다시 하면 회복될 것 같다고 말하며 육아휴직을 써야할 것 같다고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전달이 과도하게 이뤄지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규명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은준
시냅스뇌질환연구단 단장 겸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와 김성기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단장,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자폐 모델 생쥐를 이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자폐 생쥐 빛 자극 줬더니 회복…자폐 환자 사회성 저하 원인 규명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8.27
통해 주변 Pv 뉴런들까지 다발성 발화가 일어나 사회성과 인지능력이 회복된 것이다.
김은준
단장은 “자폐의 주요 증상인 사회성 저하의 구체적 메커니즘은 물론 사회성을 회복시키는 데까지 성공했다”며 “자폐를 한층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 ...
IBS 2개 연구단 문 닫는다…김빛내리·
김은준
·현택환 교수 연구단 세계 최고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2.18
낸 것으로 평가됐다. RNA연구단장은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시냅스뇌질환연구단은
김은준
KAIST 교수, 나노입자연구단은 현택환 서울대 교수가 단장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IBS는 산하 연구단에 대한 첫 8년차 성과평가 결과 3개 연구단의 과학적 우수성이 최고 등급(S)으로 평가됐다고 18일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의
김은준
연구단장과도 공동연구를 진행중이다. 정 부연구단장은 신경회로의 변화가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는 시스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자다. 분자가 변할 때 시냅스, 신경회로, 행동이 차례로 ... ...
미래를 여는 브레인 코리아 [1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신경과 교수 신희섭 - 기초연구원 단장 류인균 - 이화여자대학교 약학 교수
김은준
- 기초연구원 단장 이창준 - WCI 기능커넥토믹스 부센터장 만프레트 슈피쳐 - 독일 울름대학교 뇌과학 연구센터 에노필링거 -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월터 슈튀머 -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센터장 조지 어거스틴 - WCI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보다 나은 치료방법은 없을까.자폐증의 원인부터 알아보자.
김은준
교수는 “자폐증 환자의 90%는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나머지 10%는 환경적 요인 때문에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환경적 요인이란 태아의 뇌가 발달할 시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위험요소를 ... ...
ADHD는 유전자 이상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여러 가지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는 뇌 발달 장애랍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강창원 교수팀은 ADHD를 앓는 어린이 200명과 정상 어린이 200명의 뇌 신경세포의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ADHD 어린이와 정상 어린이는 뇌 속 신경세포의 유전자가 조금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 ... ...
국내 연구팀이 ADHD 유전적 원인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유전적 요인이 규명됐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 강창원 교수팀은 ADHD가 뇌의 신경 시냅스 단백질(GIT1) 부족 때문이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의약학계 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1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행동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신경세포 연결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가 이끄는 시냅스 생성 연구단은 신경세포를 연결해 시냅스를 만드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시냅스 뼈대를 형성하는 단백질을 연구한다. 시냅스는 서로 다른 신경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간단히 제소개
포스팅
l
20200603
피해를 드려 너무 죄송합니다.. 그리고 제 이름등에 대해 여쭈어보시는분들일단 제 실명은
김은준
입니다. 04년생 그러니까 이제 고1이고요. 어차피 여기에
김은준
이라고 쳐도 안나옵니다 그때 아빠이름으로 들어왔어서 그럼 . ...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