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된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예산이 대폭 줄어든다.더욱 고무적인 일은 이미 대형 광학망원경을 운용하고 있는
미국
과 멕시코가 공동으로 재원을 투입해 KLT 바로 옆에 똑같은 모델의 망원경을 세울 계획이라는 점이다. 결국 KLT는 쌍망원경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고 우리 지분도 자연히 50%가 될 것이다.물론 망원경이 같다고 해서 ... ...
세균의 우정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어려울 때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데일 카이저 교수팀은 믹소박테리아라는 세균이 움직이지 못하는 다른 세균에게 단백질을 전달해 다시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것을 발견했다. 믹소박테리아는 흙 속에 살며 유기물을 먹는 세균으로, 섬모라는 작고 가는 돌기를 ... ...
쌍둥이도 나이 들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같은 유전자를 가지므로 이 연구는 환경이 어떻게 DNA를 바꾸는지 보여준다. 이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호에 실렸다.연구팀은 40쌍의 쌍둥이에서 DNA를 추출해 메틸화(methylation)된 양을 측정했다. 이를 통해 DNA와 이를 감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의 화학적 변형 정도를 측정한 결과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키를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켈리(41). 미 공군 대령. 2001년 국제우주정거장에 물품 보급 위해 한차례 우주 왕복.- 임무 전문가(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보니 태양계 초기 물질이 햇빛에 많이 날아간 상태다.그렇다고 이번 실험이 단순한
미국
의 독립기념일 이벤트만은 아니다. 인류는 그동안 수없이 혜성 탐사에 도전했다. 때론 성공했지만 실패한 경우도 많았다. 혜성을 감싼 구름 속 먼지입자들은 총알보다 빨라 혜성 탐사는 매우 위험했다. 단주기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띠, 띠, 띠.’ 2020년 8월의 평화로운 어느 오후 남해 제2 이어도해양과학기지 관제실에 요란스런 경보음이 울리기 시작했다. 경보음은 레이더 ... 로봇 물고기의 거대한 ‘수족관’이 될 것이다. 로봇 물고기를 타고 심해 관광을 즐기며
미국
과 한국을 여행하게 될 푸른 미래를 상상해 본다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과민하게 반응했다.새로운 것에 대한 반응은 사람의 성격을 나누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미국
의 클레어 클로닝거 박사는 ‘자극추구형’(novelty-seeking) 성격이 있다고 주장했다. 자극추구형 성격은 새로운 경험이나 자극을 얻기 위해 위험한 행동을 감수하는 일종의 ‘기질’(Temperament)을 뜻한다.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람들의 수를 종합했더니 5억4300만명이 병에 걸린 상태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당시
미국
인구가 2억6500만명이었다니 가히 놀랄 만한 숫자다. 한 명이 2~3가지 병을 앓고 있는 셈이니, 건강하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모르는 사이 자신이 무슨 병에 걸리지 않았나 싶어 두려워질 것 같다.이처럼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복잡하다. 지난해 말 영국 런던대 피아 로트시타인 박사팀은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를 합성한 사진을 보여주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찍어 이 과정을 밝혀냈다.얼굴을 보는 순간 제일 먼저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뇌 뒤쪽 영역이 활발히 활동한다. 이 때 ... ...
이전
1005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