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초대하는 첨단 기술 - 탐사M A R S S U I T본격적인‘화성 유인 탐사’시대를 알리는 우주복.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화성탐사복은 지금까지 개발된 어떤 우주복보다 기술적으로 앞선다. 화성을 여행하려면 지구와 다른 중력 환경과 거센 먼지 폭풍을 이겨내야 한다. 편안함과 기능성 역시 주요 ... ...
쿼티 vs 드보락 자판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내 이 연구들이 드보락 교수가 개입한 주관적인 연구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1953년에
미국
행정부에서 발행된 보고서는 객관적인 것으로 판명됐지만 보고서는 타자기의 속도와 자판은 상관관계가 없음을 말해줄 뿐이었다.드보락 자판이 실패한 결정적인 이유는 숄즈 자판에 익숙해진 사람들의 ... ...
사랑은 키스를 부른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술’(TAOCP,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이라는 책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 책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이 “이 책을 다 읽고 이해할 수 있다면 반드시 나에게 이력서를 보내라”고 말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다.자, 이제 꽤나 낭만적인 더블릿 하나를 소개한다. LOVE에서 출발해 KISS에 ... ...
반갑지 않은 봄의 손님, 황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먼지는 중국 사막 지대의 강한 바람을 타고 수천 km를 이동하여 우리나라와 일본, 멀리는
미국
까지 영향을 줍니다.우리나라에는 매년 3~5월에 황사가 찾아오는데 황사현상이 발생하면 대기는 온통 누런 모래먼지로 가득 찹니다. 황사는 원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지구 온난화로 인해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불렀듯 실제 전략에 스타워즈의 기술을 많이 끌어다 썼다”고 지적했다. 그는 “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미래 기술을 논의할 때 SF작가들이 꼭 참여한다”며 “과학자들은 SF의 상상력을 사랑한다”고 말했다.박 대표는 “스타워즈는 사람들에게 우주 여행을 마치 국제선 비행기 타듯 가깝게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육식공룡의 속도는 한반도에서 시속 3.2~8km로 측정됐다. 이는 걷는 걸음걸이에 해당된다.
미국
에서 측정된 티라노사우루스의 걷는 속도(시속 6.22~7.54km)와 비슷하다. 아쉽게도 현재까지 티라노사우루스가 뛰는 속도를 측정할 보행렬이 발견되지 않았다. 최근 영국에서 대형 육식공룡이 걸을 때는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쓰나미(tsunami)가 발생했을 때 전 세계에 참사 현장을 있는 그대로 확인시켜준 것은
미국
디지털글로브사의 ‘퀵버드’(QuickBird) 위성이었다. 아리랑 2호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 우리도 퀵버드에 버금가는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첨단 기술로 우주에서 살아남기아리랑 2호는 각종 첨단기술들의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뉴욕타임스의 아서 설즈버거 회장은 “활자매체였던 뉴욕타임스가 불과 2~3년만에
미국
내 14위의 인터넷기업으로 거듭났다”면서 “인터넷 블로그와 이동통신기술이 중심인 매체 환경이 주류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최근의 상황을 요약한다.그는 “신문의 형태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 ...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상업적 포경을 허용하는 문제였다. 일본과 노르웨이 등 포경 재개에 찬성하는 국가들과
미국
, 호주 등 반대하는 국가들이 날카롭게 대립했다.찬성 국가들은 고래가 먹어치우는 물고기가 세계 총어획량의 3~5배에 이르기 때문에 포경을 재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세계 제1의 고래고기 소비국인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최고의 환경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왠일인지 공룡뼈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미국
과 캐나다, 중국과 반대로 한반도에선 공룡발자국 화석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에 대해 이 박사는 “생활하기 좋은 지역보다 산사태나 건조한 기후처럼 극한 상황에서 오히려 화석이 되기 쉽다는 점을 유의해야 ... ...
이전
1006
1007
1008
1009
1010
1011
1012
1013
10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