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분 만에 자신과 똑같은 로봇을 복제하는 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코넬대 로드 립슨 교수는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개발했다”고 ‘네이처’ 5월 11일자에 발표했다.이 로봇은 주사위처럼 한 변이 10cm인 정육면체 4개가 길게 연결돼 만들어졌다. 이 로봇은 반으로 분리될 수 있다.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최근 출시되는 휴대전화는 예전에 비해 전자파를 적게 방출한다.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 담당관들은 휴대전화의 전자파 방출을 최소화해 운항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기내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아메리칸 항공 등은 시험비행을 거쳐 기내 휴대전화 통화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가 지정한 공식 보도시점은 한국시간으로 5월 20일 오전 3시. 과학동아가 그 전에 입수한
미국
과학진흥협회의 보도자료는 놀랍게도 한국어였다. ‘사이언스’ 발행 이후 보도자료가 한국어로 먼저 나온 적은 처음. 실감나는 생명공학 ‘한류 열풍’이다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공기와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다. 가장 빠른 토네이도는 1995년
미국
오클라호마주에서 발생했는데 시속 508km였다. 가장 많은 피해는 1925년 발생한 토네이도가 낳았다. 약 3시간 30분에 걸쳐 시속 100km의 속도로 350km를 전진했다. 695명이 죽고 2027명이 다쳤다.지구에서 가장 넓은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처음에는 ‘공포증’(phobia)과 같은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질병 치료에 이용됐다.
미국
의 조지아대와 워싱턴대 공동 연구팀은 비행공포를 갖는 환자를 위한 가상 비행기 실내 환경과 고소공포 치료를 위한 엘리베이터를 개발해 실험했다. 또 대중 연설을 두려워하는 환자와 외상후 후유증을 앓는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각종 모형이나 3차원 지형도 등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해 준다. “
미국
러쉬모어산의 대통령 얼굴상도 원형 그대로 만들어 부천 아인스월드 테마파크에 기증했다”고 설명하는 양 교수의 미소에 뿌듯함이 묻어났다.올해로 벌써 27년째 연구실을 이끄는 양동열 교수는 KAIST 제 1호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현장감식반에서는 혈흔을 찾기 위해 ‘루미놀’이라는 질소화합물을 이용하고 있다.
미국
드라마 ‘CSI 과학수사대’에서도 주인공이 현장에서 루미놀을 분무기로 뿌리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 물질은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붙어 발색 반응을 나타내는데, 어두운 현장에서 이 용액을 뿌리면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영상이 판치는 지금까지도 왜 흑백 사진을 찍는지 뒷받침해준다”고 말한다. 2000년
미국
디텐버 박사 연구팀 역시 일반인에게 컬러동영상과 흑백동영상을 연달아 보여주고 컬러가 흑백에 비해 유쾌하고 각성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피사체에 가까이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 즉 화각은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절대로 깨지지 않는다고 한다. 양자컴퓨터는 현재 존재하는 모든 암호를 풀 수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빈 라덴도 양자암호와 양자컴퓨터를 쓰는 것 아니냐고 했더니 그래서 세상은 인연으로 가득찬 공진화라며 크게 웃었다.“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극락이 아니라 깨달음입니다. 제가 가장 ... ...
펜타쿼크, 유령입자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결과 2002년 알려진 펜타쿼크의 발견이 실제로는 착오였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최근 열린
미국
물리학회에서 발표했다.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 데 비타 박사도 “실험에서 쿼크를 보지 못했다”고 이 학회에서 밝혔다.펜타쿼크는 일본 하리마의 한 원형가속기에서 처음 발견됐다. 일본 연구팀은 ... ...
이전
1010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
1017
1018
다음
공지사항